[사설] 민심은 절충의 정치력 원한다
입력 2010-06-06 18:16
6·2 지방선거를 통해 지방권력 구도가 새로 짜여짐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지방의 행정 수장과 교육 수장이 정면충돌하면서 곳곳에서 파열음을 낼 조짐이다. 야당 인사들이 대거 광역단체장에 진출하고, 단체장 당선자와 교육감 당선자의 이념성향이 정반대인 광역자치단체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민주당 소속인 충남·충북·강원 도지사 당선자와 광주시장 당선자, 사실상 야당인사인 경남도지사 당선자는 광역자치단체의 행정권을 동원해 4대강 사업을 저지하겠다고 밝혀 중앙정부와의 마찰을 예고했다.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된 서울시와 경기도에서는 진보 교육감이 시·도 의회를 장악한 민주당 도움을 받으며 무상급식 실시 등을 밀어붙일 태세여서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역으로, 진보 단체장과 보수 교육감이 동시에 뽑힌 광역자치단체에서도 불화가 예상된다. 자칫 국가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을까 우려된다.
올 지방선거에서 재확인됐지만, 국민은 극단적인 대립을 유발하는 어느 일방의 독주를 용납하지 않는다.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기 입장만 옳다고 우기며 싸움을 마다하지 않는다면 민심의 거센 역풍에 직면할 것이란 뜻이다. ‘다름’을 수용하고, 대화로써 합의를 도출하려 노력하는 쪽이 민심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이번 선거가 주는 하나의 교훈이다. 민심에 부합하려면 절충의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국민을 무시하는 대결 지향적 정치를 접고 상대를 적대시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면에서 지방선거 결과는 여권에게 위기이지만 기회일 수 있다. 민의를 존중해 앞으로 야당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설득과 타협의 정치를 펴 나간다면 충분히 기회로 반전시킬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여기에는 여권이 지방권력까지 장악해 각종 정책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였던 점을 반성해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반면 야당은 지방권력 재편을 국정 주도권을 쥐는 호기라고 여길지 모르지만 위기일 수 있다. 의기양양해 여권을 더욱 옥죄고, 싸우는 일에 매진한다면 민심으로부터 버림받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