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집값 게걸음”… 개발사업 제동걸릴 수도

입력 2010-06-06 17:33

6·2 지방선거 이후 기존 주택 매매시장은 상반기에 이어 약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민간 분양시장 역시 보금자리주택 등 공공물량 공급 영향으로 회복세를 찾기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정보업체인 내집마련정보사 양지영 팀장은 6일 “올해 지방선거의 경우 수도권 지역과 관련된 부동산 정책들이 지난 민선 4기의 연장선상에 있는 데다 집값 상승을 기대할 만한 공약도 미미했기 때문에 시장 흐름에 큰 변화는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도 “선거 이후에 월드컵과 여름 휴가철, 금리인상 등을 포함한 출구전략 가능성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의 반등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야당인 민주당 소속 기초자치단체장이 대거 당선되면서 향후 광역·기초자치단체장간 불협화음으로 각종 개발사업의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스피드뱅크 박원갑 부동산연구소장은 “자치단체장간 정치노선과 지역 주민들간 의견 대립으로 각종 개발이슈에 대한 일사천리식 의사결정이 제동 걸리거나 지연될 수도 있다”면서 “이 같은 상황은 오히려 집값 하락 등의 압력요인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서울시의 뉴타운 사업과 한강변 정비사업, 서남권 신경제거점 프로젝트 등의 개발사업 영향으로 전문투자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국지적인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표출되고 있다.

현재 보합세를 보이고 있는 수도권 전세시장은 여름 휴가철이 끝나는 시점인 8월 이후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제기된다. 양 팀장은 “재개발에 따른 이주수요와 학군수요 등에 따라 전세가격이 싼 지역과 학군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상승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간부문의 신규 분양시장은 침체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의 경우 시프트(장기전세주택) 공급이 확대되고, 정부의 보금자리주택 공급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입지나 브랜드, 분양가 등 경쟁력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수요자가 몰리면서 민간 분양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의 쏠림 현상이나 양극화 현상도 보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