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사무총장 “한국 금리 인상해야”

입력 2010-06-04 18:1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 질서 재편을 논의할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5일 부산에서 개막됐다.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각국 대표단과 국제기구 수장들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남유럽 재정위기 이후 세계 경제 현황에 대해 보고받고 재정건전성 제고, 은행세 도입 등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출구전략을 비롯한 거시정책 공조 방안 등을 논의했다.

G20은 6일 채택될 코뮈니케(성명서)에 회원국 각국이 글로벌 경기 회복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정 건전성 강화에 노력하자는 내용을 담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한 국제기구 수장들이 잇따라 한국의 금리인상 필요성을 제기해 통화당국의 대응이 주목된다.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은 4일 한국이 강력한 경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금리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구리아 총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정책금리는 지난해 2월부터 기록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이례적인 완화 기조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목표 범위에서 물가상승률을 유지하면서 인플레 기대심리를 붙들어두려면 정책금리를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앞서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도 “경제 회복을 뒷받침하는 통화정책을 계속 유지하면서 금리 정상화 과정을 시작할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은 우리 경제의 ‘강력하고 빠른’ 회복세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때문이다. 우리 경제의 빠른 회복세와 환율 및 국제유가 상승세를 감안할 때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커지면 실물경제에서 왜곡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는 금리를 미리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 증가했다. 이는 4월 27일 발표한 속보치에 비해 0.3% 포인트 높은 것으로 2002년 4분기 8.1% 이후 7년3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에 따라 10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당장 금리인상을 결정하지는 않더라도 인상 시기가 임박했음을 강하게 시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어 금리인상 시기가 무르익었다는 판단이지만 정부는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이 많아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재중 기자, 부산=김아진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