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민심 대이동] 세종시 수정안, 충청권 완패로 동력 상실… 친이계 중심 ‘출구전략’ 만지작
입력 2010-06-03 18:43
여권의 6·2 지방선거 패배로 이명박 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고 추진했던 세종시 수정과 4대강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천안함 사태 이후 추진했던 대북 강경 정책도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이번 선거에서 이들 정책이 민심 이반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3일 “이번 지방선거 패배로 세종시 수정의 동력을 잃었다”면서 “이제는 출구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다른 여권 관계자는 “세종시 문제를 계속 밀고 가야 할지, 이쯤에서 접어야 할지를 결정할 시점이 온 것 같다”고 했다.
여권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충청권 전멸의 가장 큰 이유로 세종시 문제를 지목한다. 특히 마지노선으로 삼았던 충북지사 선거에서의 패배를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세종시가 들어설 충남과 이웃한 충북지사에 모두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고, 이들이 당선 일성으로 세종시 원안 고수를 강조한 것은 엄청난 부담이다.
충청권 완패로 한나라당과 정부가 야심차게 마련한 세종시 수정 플랜은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수도권과 충북 승리를 발판으로 세종시 수정 당론을 정하고 그 여세를 몰아 6월 임시국회에서 수정안을 처리하겠다는 계획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힘을 얻은 민주당 등 야권의 기세는 더욱 거세질 것이 불 보듯 뻔하고, 박근혜 전 대표의 반대도 여전하다.
그래서 모색되는 것이 출구전략이다. 친이계를 중심으로 당내에서 세종시 논의 절차를 밟아 공식 폐기하는 수순이 검토되고 있다. 세종시 문제 등 악재들을 빨리 털고 전열을 재정비해 다가올 전당대회와 7·28 재·보선을 준비하자는 주장이다.
그러나 여권이 이렇듯 허무하게 세종시 문제를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란 반론도 없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방선거 전날인 지난 1일 “선거 결과에 관계없이 국정에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한 부분은 충청권 패배를 이미 예상하고 세종시 수정 의사를 피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또 세종시가 들어설 충남 연기와 공주 지역에 수정 여론이 조금씩 높아지는 대목도 여권이 세종시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세종시 입주 예정지역 주민들은 수정안을 찬성하고 그 외 충청권에서 원안 고수를 주장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