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국민의 선택] 경합 늘고 지역 이슈 대두… 젊은층 적극 투표
입력 2010-06-02 22:21
6·2 지방선거 투표율은 54.5%를 기록해 15년 만에 최고치로 집계됐다. 지방선거 투표율은 1995년 치러진 제1회 지방선거의 투표율(68.4%)이 가장 높았다.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4년 전 치러진 제4회 지방선거 투표율은 51.6%에 그쳤다.
이번 지방선거도 선거 초반 투표율은 극히 저조했다. 2일 오전 7시 투표율은 3.3%에 그쳐 4회 지방선거 당시 같은 시간대 투표율 3.6%보다 오히려 낮았다. 그러나 낮 12시 투표율(27.1%)을 기점으로 지난 지방선거와 같아졌고, 이후 투표율은 지속적으로 4년 전 투표율을 웃돌았다. 선관위는 투표율 상승의 3대 요소로 ‘선거 막판 경합 선거구 증가’ ‘교육감·교육의원 선거 추가로 관심 계층폭 확대’ ‘언론과 시민단체, 선관위의 적극적 홍보활동을 통한 유권자 참여’ 등을 꼽았다.
지역별로 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투표율이 평균 5∼10% 정도 높았다. 특히 여야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당선을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인 강원, 충남, 경남 지역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56∼62%대 투표율을 보였다. 그 외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전통적인 지지기반인 영·호남 지역 투표율도 비교적 높아 상승세를 견인했다.
반면 수도권 지역은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저조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투표율은 각각 53.8%, 51.8%, 51.0%로 모두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지역별 투표율은 제주가 65.1%로 가장 높았고 대구는 46.0%에 그쳐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젊은층의 적극적인 투표참여’와 ‘지역별 이슈 대두’ 등을 투표율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았다. 강원택 한국정당학회장(숭실대 정치학 교수)은 “인터넷에서 일부 표현의 자유가 억압되고 정부에 비판적인 방송 인사가 불이익을 받는 모습을 보면서 젊은층이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한 것 같다”며 “젊은층이 평소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여러 가지 권리들이 이번 정부에서 상당히 침해당하면서 정치적 불만이 쌓였고, 그게 선거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방의 높은 투표율에 대해서는 노풍이나 세종시 문제 같은 지역별 쟁점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성공회대 정해구 교수(정치학)는 “전국적으로는 ‘정권심판론 VS 천안함사건’이 대두됐지만 지역별 쟁점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며 “충남권의 세종시 추진 문제나 경남, 강원 지역의 노풍 영향 등이 선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유권자의 높은 투표 참여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선거가 ‘1인 8표’로 치러진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후보자만 9834명이다. 연고자도 그만큼 많을 것이다. 이들이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고, 주위에 투표를 종용할 경우 투표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한나라당 정병국 선대본부장은 “투표율이 높으면 여당이 불리한 측면이 있지만 수도권에서는 여당 후보들이 선전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김민석 선대본부장은 “접전 지역을 중심으로 투표율이 올랐고 야권 후보들이 약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