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후보는 ‘OK’ 전문성·능력 겸비한 참 일꾼… 이런 후보는 ‘NO’ 장밋빛 공약· 표 따라 당적 변경

입력 2010-06-01 00:21

서울 상도동에 사는 회사원 김모(34·여)씨는 1일 경남 김해에 살고 있는 어머니한테서 전화 한 통을 받았다. “야야, 이번엔 누구 찍으면 좋겠노.” 수화기 너머 들리는 목소리에서 난감함이 묻어난다. 김씨는 “집에 온 선거 공보물을 보고 맘에 드는 사람 찍으세요”라고 말했다. 하지만 김씨는 “환갑 넘은 우리 어머니뿐만 아니라 실은 나도 어떤 후보를 찍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유권자들의 선택을 돕기 위해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와 경실련 2010 지방선거 유권자운동본부의 조언을 받아 투표소 가기 30분 전 필수 체크 포인트를 정리했다.

먼저 이번 선거는 ‘지역 일꾼’ 3991명을 뽑는 선거다. 앞으로 4년간 이들이 전국 16개 시·도와 228개 시·군·구의 지방 살림과 교육 정책을 책임지게 된다. 도심 재건축 등 주거 정책이나 보육 정책뿐 아니라 주차 단속이나 쓰레기 수거처럼 실생활에 밀접한 행정까지 이들의 손에 달려 있다.

따라서 도덕성에 문제가 있는 후보를 먼저 골라내야 한다. 경실련 유권자운동본부장 이기우 인하대 교수는 “지방정부의 부패가 심각하기 때문에 부패할 소지가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며 “비리 연루 등 전과는 물론이고 탈세나 정보공개를 거부한 사람 역시 공직자로서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이은재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민선 4기 기초단체장 230명 중 118명이 기소됐고 이 중 23명이 임기 중 당선무효형 확정판결을 받았다. 상당수는 선거법 위반이었지만 뇌물이나 정치자금, 횡령 혐의를 받은 이도 꽤 됐다. 이 때문에 생긴 재·보궐 선거의 비용 역시 유권자들의 세금이다.

공약을 들여다볼 때는 실현 가능성이 관건이다. 대선주자라도 되는 듯이 메가톤급 정책을 내놓으면서도 구체적인 재원 조달 계획이 빠져 있다면 일단 X표다. 경력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과연 우리 동네에 대해 잘 알고 지역 발전을 위해 일할 준비가 된 후보인지, 선거를 앞두고 급조된 후보는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 이 교수는 “지방 일꾼을 뽑는 선거이기 때문에 ‘MB 아웃’ 등 중앙정부 심판론이나 천안함 사고로 인한 안보 문제는 머릿속에서 지우고 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광역의원이나 기초의원은 조례입법권과 함께 지자체 예산과 결산을 심의하는 사람이란 점을 기억하자. 광역단체장부터 기초의원까지 줄투표를 해선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이광재 사무처장은 “광역·기초단체장의 거수기 역할을 하지 않고 지자체를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후보를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사무처장은 “교육감의 경우 보수, 진보 성향으로 구분할 것이 아니라 현재 교육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스스로 평가한 뒤 교육감 후보의 정책과 비교해 선택하면 된다”고 말했다.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은 이날 자정 마감됐으며 선거일인 2일에는 일체의 선거운동이 금지된다. 선거일 투표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개표 속도에 따라 상당수 지역에서 오후 11시쯤 당락의 윤곽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양승태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담화문을 통해 “나와 이웃이 함께 살아가는 내 고장의 발전과 자녀 교육의 미래를 위해 즐거운 마음으로 투표소에 나가 후회 없는 선택을 하자”고 당부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