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한나라, 승리땐 정몽준 재신임·박근혜 입지 축소
입력 2010-06-01 21:10
선거 이후 여야 전망
6·2 지방선거는 여야 모두에 핵심 터닝포인트다. 현 정부가 반환점을 도는 시기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고 있어 선거 결과에 따라 집권 하반기 국정운영의 틀과 동력이 달라진다. 세종시 문제와 4대강 사업, 개헌 논의뿐 아니라 여야 지도부와 차기 대권주자들의 위상 역시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수도권 광역단체장 3곳과 경남지사 선거가 승패의 가장 중요한 지표다. 수도권에선 서울시장을 포함해 2곳 이상 이겨야 승리했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서울시장을 얻고, 경기지사와 인천시장을 야당에 내주면 다른 지역 선거 결과에 상관없이 완패로 기록될 수밖에 없다. 역으로 다른 곳에서 다 이겨도 서울시장을 내주면 이 역시 패배로 봐야 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수도권 외에 박빙인 경남에서 패한다면 텃밭 민심이반 책임 소재를 두고 적잖은 내홍이 예상된다.
우선 선거 승리로 평가받을 경우 정몽준 대표 체제는 6월 30일 전당대회에서 재신임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 대표 출마 준비를 하고 있는 홍준표 안상수 의원 등과의 경쟁구도가 예상되지만 정 대표를 교체해야 할 명분이 약해진다는 것이다. 이번 선거를 지휘하고 있는 정병국 정두언 의원 등 당내 친이계 의원들의 위상도 공고해질 수 있다. 반면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는 당내 입지가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벌써부터 친이계 내부에서는 “선거에서 이기면 박 전 대표 없이도 당을 이끌어갈 수 있다는 여론이 힘을 얻게 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선거에서 압승하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세종시 수정안을 다시 꺼내들 가능성도 없지 않다. 어떻게든 세종시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는 당내 여론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공동선대위원장인 홍준표 의원은 1일 “수도권에서 압승하면 세종시 수정안이나 4대강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게다가 7월 재·보궐선거 외에 당분간 선거일정이 없어 개헌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압승할 경우 협상 파트너인 민주당에 내홍이 일어나면서 개헌 얘기를 꺼낼 수 없는 분위기가 될 수도 있다.
반면 선거 패배라는 결과가 나오면 정 대표의 재신임이나 세종시 수정안은 사실상 물건너가게 되고, 4대강 사업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민심을 이유로 야권 공세가 거세질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박 전 대표가 어떤 행보를 하게 될지 주목된다. 여권에서 그를 무시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박근혜 대세론’이 다시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개헌 문제는 선거 패배 시에도 국면전환 핫이슈로 떠오를 가능이 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