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이대통령, “선거결과 관계없이 사회 선진화 매진”

입력 2010-06-01 21:09

이명박 대통령은 1일 “내일(2일) 지방선거가 끝나면 선진일류국가 달성을 위해 우리 사회 전반의 시스템 선진화를 이뤄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지방선거가 끝나면 우리 정부 임기의 절반에 접어들게 된다”며 “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더욱 국정에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시스템 선진화와 관련, “여러 번 강조한 교육과 토착, 권력형 비리 등 3대 비리의 척결과 발본색원에도 중단 없이 임할 것”이라며 “검·경 개혁을 포함한 사법 개혁도 과감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부처별로 어떻게 국정 성과를 낼 것인지 미리미리 준비하고 검토하는 것이 좋겠다”고 국무위원들에게 주문했다.

이 대통령이 ‘선거 이후 준비’를 지시한 것은 집권 후반기 전략과도 맥이 닿아 있다. 이 대통령은 이전에도 “지방선거가 끝나면 1년 반 동안 선거 없이 일할 기회가 생긴다”고 강조해 왔다. 지방선거가 끝나면 2012년 4월 총선 때까지는 국회의원 재·보선을 제외하면 큰 선거가 없다. 이 대통령이 선거라는 ‘외풍’ 없이 세종시 수정안, 4대강 사업, 교육개혁, 사법개혁 등을 강하게 추진하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 발언에는 이번 지방선거 결과가 당초 기대보다 좋을 것 같다는 자신감도 깔려 있는 듯하다. 청와대는 올해 초만 해도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하면 선방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많았다. 그만큼 지방선거 결과에 대한 걱정이 많았다. 하지만 예상하지 못했던 천안함 사태와 야당의 선거전략 부실 등으로 당초 예상을 웃도는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청와대 일각에서는 텃밭의 고전을 우려하는 기류도 존재한다. 현재 한나라당과 야당 및 무소속이 경합 중인 강원 충북 경남 인천의 경우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강원과 경남에서 한나라당이 고전한 적이 있었는가”라고 반문하면서 “텃밭에서 고전한다는 것 자체가 눈에 보이지 않는 민심이반이 진행되고 있는 증거”라고 말했다. 대선 당시 48.7%를 얻었던 이 대통령은 현재 50% 안팎의 국정운영 지지율을 확보하고 있다. 때문에 텃밭이 흔들리는 지방선거는 저변이 나빠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선거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수도권 승리를 전망하며 이에 안도하는 것은 단견일 수 있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