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팽팽하던 초·중반 선거판세 ‘천안함’ 한방에 요동

입력 2010-06-01 00:20


6·2 지방선거는 선거기간 내내 판세가 외부요인에 의해 급격히 흔들렸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부의 천안함 침몰 원인 조사결과 발표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등 주요 사건이 이어지면서 유권자들의 지지도 시시각각 달라졌다.

선거 초반 야당은 주요 이슈를 선점하고 정부 여당을 거칠게 몰아붙였다. 야당이 주장해 온 ‘전면 무상급식 도입’ 문제는 지방선거에서 여야 복지정책을 가르는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후보들은 무상급식 전면 도입을 주장하며 여론을 선도했고, 한나라당은 ‘국가 재정을 고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공약’이라고 맞서 찬반 논란이 거셌다. 여당 내에서는 이슈에서 밀렸다는 자성론이 일기도 했다.

4대강 사업도 일찍부터 논란거리로 부각됐다. 야당과 일부 종교단체는 대대적인 4대강 반대운동을 벌였고 ‘이번 지방선거는 4대강 사업에 대한 찬반 투표’라고 규정했다. 정부 여당은 이에 맞서 4대강 사업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4대강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 여부는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됐다. 청와대에서 정부의 4대강 대응이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이 시점이다.

그러나 이런 정책 이슈는 3월 26일 천안함 침몰과 함께 사실상 유권자의 시선에서 사라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야권에서는 천안함뿐 아니라 이번 지방선거가 어뢰를 맞았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였다.

특히 지난 20일 천안함 사태에 국방부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발표되면서 모든 판도가 급변했다.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으로 밝혀졌고, 대북관계가 악화되면서 국가 안보를 걱정하는 분위기가 고조됐다.

이후 여야는 선거기간 내내 천안함발 북풍을 유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공방을 지속했다. 여당은 북한과 민주당을 싸잡아 비난했고 야당은 ‘반전론’과 ‘경제위기론’으로 맞불을 놨다.

한나라당은 천안함 사태가 보수층 표의 결집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며 수도권 ‘빅3’ 광역단체장 수성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선전이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가 여당에 다소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여당 일각에서는 북풍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움직임도 일었다. 반면 야권은 천안함 사태에 대한 정부와 여당의 정치적 이용을 비난하며 ‘안보 장사론’과 ‘전쟁 책임론’ 등을 내세워 반격했다.

이 와중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인 지난 23일을 앞두고는 노풍이 일었다. 서울과 경기 등에서 친노 인사들이 야권후보 단일화를 이뤄냈고 충남, 강원, 경남 등의 광역단체장 후보들도 친노 인사들이 전면에 나서면서 현 정권 심판론이 급속히 확산됐다.

민주당은 또 과거 지지자들을 결집시켰던 ‘촛불 유세’를 하는 등 북풍을 잠재우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그 사이 노풍이 잦아들며 친노 인사들의 지지세가 한풀 꺾였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현 유리한 상황을 굳히려는 여당과 어떻게든 반전을 꾀하려는 야당의 대립이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1일까지 지속됐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