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민주당, 수도권서 2곳이상 승리하면 정국 주도권

입력 2010-06-01 00:19

선거 이후 여야 전망

6·2 지방선거는 여야 모두에 핵심 터닝포인트다. 현 정부가 반환점을 도는 시기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고 있어 선거 결과에 따라 집권 하반기 국정운영의 틀과 동력이 달라진다. 세종시 문제와 4대강 사업, 개헌 논의뿐 아니라 여야 지도부와 차기 대권주자들의 위상 역시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

6·2 지방선거 선거 결과에 따라 민주당 지도부의 운명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할 경우 정세균 대표 등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도 당시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은 의장직 자리에 오른 지 104일 만에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당 지도부는 비호남 지역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2곳 이상을 이기면 선전한 것이라고 자체 평가하고 있으나, ‘서울·경기’를 한나라당에 내줄 경우 책임론 등 후폭풍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비당권파를 중심으로 당 지도부 쇄신, 외부인사 영입 등 변화와 개혁의 목소리도 본격적으로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관계자는 1일 “실질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할 경우 지방선거 후보 단일화 및 공천 과정에서 불거졌던 정 대표 리더십 문제와 천안함 초기 대응 실패에 대한 책임론, 봉합됐던 당내 계파 갈등이 한꺼번에 폭발해 대표로서의 구실이 사실상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선거 결과가 사실상 패배로 귀결된다면 정치일정상 민주당은 당권경쟁의 무한 소용돌이로 빨려들면서 세력판도가 재편될 가능성이 커진다. 손학규 전 대표, 정동영·천정배·추미애 의원 등 ‘잠룡’들은 전당대회와 7월 재·보궐선거를 통해 차기 행보를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 야권의 춘추전국시대 양상도 펼쳐질 수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가 주장한 ‘집단지도체제’로의 지도체제 개편 요구도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도권 광역 단체장 2곳을 얻는 등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민주당은 4대강 사업, 세종시 문제, 개헌 문제 등에서 정국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또 정 대표는 지난 대선·총선 참패의 대오를 잘 정비해 이명박 정부에 상당한 위협과 부담이 될 정도로 당을 성장시켰다는 평가와 함께 전당대회에서 재선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세 확산도 탄력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대선 직후 당을 떠나거나 잠시 몸을 낮출 수밖에 없었던 친노 인사들 역시 이번 선거에서 대거 당선될 경우 야권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등 정치적 기지개를 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