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유세보다 제도 설명하다 하세월” 교육의원 선거 ‘표심’ 오리무중

입력 2010-06-01 21:09

“시민들을 만나면 ‘당신은 (기호가) 몇 번이냐’고 물어봅니다. 교육의원 선거는 정당 추천과 무관하다고 설명해도 유권자들이 이해를 잘 못해요.”

지방선거를 하루 앞둔 1일 서울 제6선거구(관악·구로·금천구) 교육의원 선거에 출마한 A후보는 이 같이 말하며 한숨을 내쉬었다. A후보는 “교육의원 선거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는 20%도 안 되는 것 같다. 유권자들을 만나면 선거운동보다는 교육의원 선거의 취지나 교육의원이 하는 일 등을 설명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고 하소연했다.

A후보의 설명처럼 유권자 한 명이 8표를 찍는 이번 선거에서 시민들의 철저한 외면 속에 진행된 대표적인 선거운동이 교육의원 선거전이다. 표심 역시 오리무중이다.

교육의원은 시·도 교육청의 행정을 감시하고 예산과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에 전국에서 뽑는 교육의원은 82명, 후보자는 269명으로 경쟁률은 3대 1이 넘는다. 서울의 경우 8명이 선출된다. 이들 교육의원은 따로 뽑히는 시의원 7명과 함께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를 구성, 앞으로 4년간 교육의원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교육의원은 2014년 지방선거부터는 지방 의원들로만 교육위원회를 구성하기 때문에 따로 뽑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교육의원이 교육감 못지않은 역할을 하는 만큼 투표장에 가기 전 후보들의 공약만이라도 확인해볼 것을 당부했다. 중앙대 설현수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의원은 전국 교육청의 30조원이 넘는 예산을 주무를 만큼 해당 지역 초·중등 교육에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며 “투표하기 전에 각 후보의 선거 공보물이라도 살펴본 후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 달라”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