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제2 부실채권 대란 온다”… FT “최대 290조 규모 유로화 최대 위기”
입력 2010-06-01 21:09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로권 은행들의 제2의 부실 채권 대란을 우려했다.
ECB가 전망한 이들 은행의 부실 채권 규모는 향후 18개월 동안 최대 1950억 유로(약 290조원)로 올해 900억 유로, 내년 1050억 유로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일 보도했다. ECB는 “유로국 은행들이 2012년 말까지 장기채 상환을 위해 모두 약 8000억 유로의 차환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채권시장에서 자금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은행의 차입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ECB는 예전에 꿈도 꾸지 못했던 국채시장 개입에 나서고 있다. ECB는 7500억 유로가 투입되는 유로 구제안의 일환으로 지난달 3일 유로국채 직접 매입을 시작한 후 지난 28일까지 모두 350억 유로어치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유로화는 출범 11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가치가 추락하고 있는 유로화의 운명과 관련해 FT는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우선 수년이 걸릴지 모르지만 유로존 국가들이 재정 상태 균형을 유지하고 경제 효율 개선에 나서면서, 유로화가 강력하고 안정적인 준비통화로서 달러화를 위협하게 될 것이라는 낙관론이다. 그러나 유로존이 안정을 되찾지만 재정 위기에서 드러난 근본적인 병폐 처방엔 실패하는 현상 유지론이 현재로선 더욱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될 경우 유로화는 퇴락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또 유로화가 장기적인 전망이 의문시 되는 통화로 전락하거나 최악의 경우 완전히 해체되는 수순을 밟을 수도 있다. 그리스와 포르투갈 등에서 해법을 찾는 데 실패했을 경우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일단의 유로국 정상이 참여하면서 사무국을 가진 ‘경제 정부’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르몽드가 보도했다. 이 ‘경제 정부’는 유로국 정상포럼 형태로 운영되며 이를 통해 유로국 재정을 체크하고 ECB 총재를 선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김영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