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격전지 부동층 30% 안팎 투표율이 ‘희비’ 가를 듯

입력 2010-05-30 21:43

6·2 지방선거를 사흘 앞둔 30일 여야는 최대 변수인 부동층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격전지나 초박빙 지역이 적지 않은 만큼 부동층의 움직임에 따라 의외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지지 후보가 없거나 응답하지 않는 부동층은 수도권만 해도 10~20%에 달한다. 오차 범위를 넘나들며 치열한 접전 양상을 보이는 경남과 충남북 지역은 부동층이 30%대를 넘나든다.

그러나 부동층의 영향력이나 투표 성향에 대해서는 여야가 엇갈린 시각을 갖고 있다. 한나라당은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에서의 부동층은 사실상 투표할 생각이 없는 부류이기 때문에 선거에 별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부동층이 주로 20, 30대로 형성돼 있고 야권 성향이 다수일 것이라는 전제 하에 승패를 가름할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막판 변수에는 이른바 ‘숨은 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숨은 표는 표심이 겉으로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부동층과 비슷한 것 같지만 맥락이 좀 다르다. 대체로 부동층은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인 반면, 숨은 표는 지지 후보가 있음에도 이런 저런 이유로 여론조사 때 의사를 밝히지 않는 유권자를 뜻한다. 따라서 그 성격상 야당후보 지지자가 많은 게 일반적이다. 민주당은 야당 성향의 숨은 표를 10%대까지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선거전이 계속되면서 숨은 표가 희박해졌다는 입장이다. 선거초기에는 12% 안팎 정도 됐지만 현재는 5∼8% 정도인데다, 여기에는 야당 지지층과 함께 이명박 대통령이나 한나라당 선호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여권 지지층도 비슷한 정도로 포진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층이나 숨은 표의 존재는 바닥 민심과 여론조사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해당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가지 않는 때는 아무 변수가 되지 못한다. 결국 투표율이 또 하나의 연결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30일 밝힌 지방선거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의 59.5%가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다만 적극적 투표 참여층이 지난 18대 총선보다 3.9% 포인트 하락해 투표율은 50% 안팎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됐다. 흔히 투표율이 60%가 넘으면 야당이 유리하다고 하는데, 이번 선관위 조사만으로는 투표율 변수의 영향력을 속단하기는 어렵다.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