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대북 전단살포 적절한 시기 검토”… 정치적 상황 고려

입력 2010-05-30 21:39

군 당국이 군사분계선(MDL) 지역에서 실시하려던 전단 살포가 늦어지고 있어 대북심리전에 대해 속도조절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장광일 국방부 정책실장은 30일 “대북 전단살포는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해서 적절한 시점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 실장은 북한이 천안함 사태가 날조됐다는 기자회견을 한 데 대해 국방부의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간 대북심리전을 담당하는 합참은 기상 여건 때문에 전단 살포가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정치적인 상황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합참관계자도 “전단살포 계획 실행 여부는 북한의 대응 태도와 주변 상황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는 군 당국이 지나치게 북한을 자극하기 않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체류 직원들의 안전을 위해 대북 심리전 자제를 요청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확성기를 통한 대북 방송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6년 전 철거한 장비를 일부 수리해 설치하려면 시간이 걸린다”며 “설치가 끝난 뒤에도 실제 확성기 방송을 하려면 정밀한 상황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군은 북한의 7개 군사적 도발 상황, 개성공단 인질 사태 등 3개 비군사적 도발 유형과 관련한 대비책을 논의하는 등 대비태세는 강화했다. 합참은 29일 서울 거여동 특전사령부에서 비공개로 3시간가량 진행된 전술토의에서 북한이 서해에서 대함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북한 어선들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와 우리 경비정이나 초계함의 군사 대응을 유도하는 도발, 백령도 연평도 등 서북도서에 대한 공격 가능성 등을 상정했다.

또 잠수함이나 잠수정을 이용한 해상침투 가능성에 대비, 감시정찰을 강화했으며 북한군이 우리 측 전방초소(GP)에 총격을 가하는 상황을 놓고 대응책을 점검했다. 개성공단 인질 사태의 경우 규모별 대책을 마련, 특수부대를 투입하는 방안과 동·서해안에서 대규모 한·미 연합전력을 전개, 압박하는 전술이 검토됐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