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옥석 어떻게 가리나… 선관위 홈피에 후보들 정보-시민단체선 공약 비교

입력 2010-05-28 18:16

6·2 지방선거가 29일로 나흘 남았다. 이번에 잘 뽑아야 내 동네가 4년간 편안하다. 그런데 시장·도지사, 군수·구청장, 교육감 등 한꺼번에 여덟번을 투표해야 하니 부담스럽다. 집에 배달된 두툼한 선거공보를 받아들면 한숨부터 나온다.



서울 노고산동에 사는 김현수(46·자영업)씨도 그렇다. 김씨는 28일 “길거리에서 후보들이 유세를 열심히 하지만 솔직히 귀에 안 들어온다”며 “시장이나 구청장 후보 말고는 누가 누군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벌써 포기하기는 이르다. 주말에 30분을 투자해 선거공보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www.nec.go.kr) 등을 돌아보면 내 고장 일꾼을 선택할 수 있다.

선거공보는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부터, 공약보다는 후보의 이력 등이 담긴 정보부터 보는 것이 효율적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선거공보의 정보공개 자료는 전과기록, 체납사실, 학력 순으로 보는 게 좋다”며 “공약은 예산 확보 여부나 시기, 방법이 구체적인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선관위 인터넷 홈페이지의 ‘후보자 정보’ 코너에서도 공약은 물론 직업, 학력, 경력, 재산, 전과기록 등 후보자의 됨됨이를 가늠할 정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품을 좀 더 판다면 후보의 공약을 파악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홈페이지(www.ccej.or.kr) ‘이슈 in 이슈’ 코너에는 광역자치단체장 및 교육감 후보의 공약이 비교 분석돼 있다. 5점 척도 혹은 A∼E까지 점수를 매겨 놨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홈페이지(www.manifesto.or.kr)에는 주요 후보의 공약 분석 자료와 함께 4년 전 민선 4기 단체장이 내놨던 공약이 정리돼 있다. 현직 자치단체장의 공약 실행 여부를 따져볼 수 있다.

김형준 명지대 정치학과 교수는 경실련의 ‘후보선택 도우미’ 프로그램을 추천했다. 스무고개를 하듯 15∼20개 질문에 답변하면 자신의 생각과 가장 근접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가 선택된다.

후보가 많으니 공약과 이력을 살핀 뒤 부적절한 사람부터 배제해 나가는 것도 방법이다. 이승종 서울대 행정학과 교수는 “터무니없는 공약, 자치단체장의 권한을 넘어서는 공약을 내놓은 후보부터 배제하는 것이 좋다”며 “지방 행정에서 견제와 균형이 무너질 수 있으니 특정 당 후보를 몰아서 찍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가족이 한데 모여 머리를 맞대는 것도 방법이다. 투표할 후보를 정했다면 이름을 메모한 뒤 투표장에 가져가야 헷갈리지 않는다.

엄기영 조국현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