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수도권 교육감 후보들 정책 연대… 단일화 시도
입력 2010-05-27 18:18
교육감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수도권의 진보·보수 후보 간 정책연대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보수 진영 후보들의 경우 표심을 잡기 위해 여당과의 연대를 과시하기도 하고 일부 후보들은 ‘막판 단일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진보 진영 단일후보인 곽노현 후보(서울)와 김상곤 후보(경기), 이청연 후보(인천)는 27일 서울시교육청 기자실에서 ‘수도권 혁신교육 벨트 추진 민주진보단일 교육감 후보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부의 특권교육을 심판하겠다”고 역설했다. 세 후보는 혁신학교 전면 도입, 관료주의 교육비리 척결, 보편적 친환경 무상급식 전면 실시 등 3대 공통공약을 발표했다. 곽 후보는 “공교육 정상화와 교육 혁신을 위한 열망이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 이번 선거는 진보가 대세다”며 “낡고 썩은 교육을 판갈이하겠다”고 말했다.
진보 진영의 기자회견이 끝난 뒤 같은 장소에서 보수 진영의 이원희 서울시교육감 후보와 정진곤 경기도교육감 후보가 기자회견을 열었다. 두 후보 역시 부적격 교사 10% 퇴출, 교육격차 해소 등의 공통공약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날 이원희·정진곤 후보의 기자회견에는 한나라당 정두언 임해규 진수희 원유철 등 네 의원이 참석해 선거법 위반 논란이 일었다. 현행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46조는 정당 대표자나 간부, 당원은 소속 정당의 명칭을 밝히거나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감 선거에 관여할 수 없으며 후보자 역시 특정 정당으로부터 지지·추천받고 있음을 드러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의원들은 취재진 질의에 “관심이 많아서 온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이원희 후보 측 관계자는 “여당 의원들이 온다는 얘기를 기자회견장에 도착해서야 들었는데 선거법상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의원들이 후보들을 적극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지원한 것은 아닌 만큼 선거운동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보수 성향 후보가 6명이나 난립하고 있는 서울의 경우 후보 간의 단일화 논의가 급진전되고 있다. 김영숙 후보 측은 “단일화 여론조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이원희 후보 측과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원희 후보는 “(다른 후보들도) 무조건 단일화 작업에 나서주기를 호소한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