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광역단체장 후보 릴레이 인터뷰·(끝)] ⑬ 김두관 무소속 경남도지사 후보

입력 2010-05-27 21:38

“지방권력 15년 독점 끝내야”

“지방선거를 통해 이명박 정권을 심판하고 한나라당의 15년 지방권력 독점을 끝내야 합니다.”



무소속 김두관 경남도지사 후보는 경남을 대한민국 번영 1번지로 만들기 위해 출마했다고 밝혔다. 그는 평생을 지방자치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살아온 사람이라고 자처했다. 이명박 정권 들어 반 지방정책이 더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핵심 정책 3가지는.

“첫째 경남의 미래전략산업으로 매년 35% 이상씩 성장하는 신재생 에너지산업을 집중 육성해 일자리를 많이 만들겠다. 신에너지 기반의 ‘그린신도시’를 건설해 경남의 발전을 이끌고 좋은 일자리를 10만개가량 만들 것이다. 둘째로 친환경 무상급식을 확대 실시해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농어민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셋째 경남도내 어디를 가더라도 교통카드 하나로 대중교통을 갈아탈 수 있도록 환승체계를 구축하겠다. 또 어르신들이 10년은 더 건강하게 사시라고 틀니·임플란트 공급을 추진하겠다.”

-4대강 사업에 대한 견해는.

“4대강 사업 중단은 국민적 합의사항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독단으로 강행되고 있을 뿐이다. 4대강 사업은 지방선거의 결과에 따라 강행과 중단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래서 ‘6월 2일은 4대강 심판 국민투표의 날’이라는 슬로건을 채택했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낙동강 본류의 피해를 과장해서는 신뢰를 얻을 수 없다. 4대강 사업의 강행은 경남의 경제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북아 물류허브, 남해안선벨트, 혁신도시, 동남권 신공항 건설 같은 지역현안이 후순위로 밀리고 있다.”

-창원·마산·진해 통합에 대해서는.

“주민투표를 통해 시민들의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야 하는데 주민이 배제돼 사실상 강제통합이 돼 버렸다. 통합의 시너지를 극대화해야 할 시점이지만 갈등에 시달리고 있다. 이달곤 후보는 창원·마산·진해 시민에게 사과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지역 현안에 대한 해결책은.

“영남권 5개 광역자치단체와 정부는 동남권 신공항 건설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소모성 힘겨루기를 중단하고 연대해야 한다.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이 오염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낙동강 취수 포기는 대안이 될 수 없다. 부산시민들이 양해하고 4대강 사업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해 사업을 중단시켜야 하는 이유이다. 진주혁신도시로의 공공기관 이전은 이명박 정부가 고의로 지연시킨 것과 다름없다.”

창원=이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