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28일 원자바오 총리와 회담…中 입장 변화 유도 여부 촉각
입력 2010-05-28 06:15
이명박 대통령은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갖는다. 천안함 사태가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진 이후 중국 최고위급 인사와 처음 대면하는 자리다. 천안함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그동안 신중론을 유지해 왔다. 때문에 이 대통령이 원 총리와의 회담에서 중국의 입장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청와대와 정부의 일반적인 전망은 ‘중국이 단시간 내에 북한 제재에 동참할 가능성은 적지만,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7일 “한·중 정상회담이나 29∼30일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등은 중국을 설득해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며 “지금으로서는 중국이 갑자기 태도를 달리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중국과 북한의 혈맹관계라는 특수성이 있지만, 천안함 사태에서만큼은 북한을 감싸고돌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들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중국의 책임 있는 자세’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지난 24일 대국민 담화에서 “이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어떤 나라도, 천안함 사태가 북한에 의해 자행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이 사용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나라’라는 표현 자체도 중국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다. 중국이 G2로서 국제사회에서 역할을 인정 받으려면, 천안함 사태와 같은 명백한 증거가 있는 군사도발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우회적인 압박 전략이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이 천안함 사태에 대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사건 발생 직후부터 중국과 긴밀한 협의를 해왔고, 특히 최근에는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가 방한해 우리와 협의했다”며 “지금까지 협의를 통해 파악한 바에 의하면 중국 측도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함께 노력해 극복해 나가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