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풍부한 경험·개혁 적임자”… 서울시교육감 후보 7인7색 강점 자랑
입력 2010-05-26 18:26
서울시교육감은 연간 6조3000억원이 넘는 예산과 5만4000여명에 달하는 교육공무원의 인사를 쥐락펴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여기에 서울의 교육정책이 갖는 전국적인 파급력까지 더해져 사람들은 흔히 서울시교육감을 ‘교육 대통령’으로 부른다.
본보는 교육감 선거를 일주일 앞둔 26일 후보 7명을 상대로 설문을 벌였다. 크게 보수(6명)와 진보(1명)로 구분되는 후보들이지만 스스로 내세우는 강점이나 교육개혁 방안을 살펴보면 ‘7인 7색’의 개성도 엿볼 수 있다.
◇“나의 강점과 라이벌은…”=‘나의 강점’으로는 ‘풍부한 경험’을 꼽은 후보가 많았다. 보수 단일후보를 자처하는 이원희 후보는 삼선중과 경복고, 잠실고를 거쳐 최대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까지 지낸 ‘30년 교육현장 전문가’라는 이력을 자랑했다. ‘EBS 명강사’로 이름을 떨치며 “사교육을 이겨본 경험도 있다”면서 “이런 이력을 살려 교육개혁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초대 교육기획관을 지낸 남승희 후보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을 역임한 김성동 후보, 덕성여중 교장 시절 ‘사교육 없는 학교’를 선보인 김영숙 후보 역시 경험을 ‘나의 강점’으로 거론했다.
방송대 교수인 곽노현 후보와 경희대 교수인 권영준 후보는 최근 서울 교육이 교육비리로 치른 홍역을 거론하며 “교육청 인맥에서 자유로운 외부 인사”라는 점을 각각 강점으로 들었다.
라이벌로 가장 많이 지목받은 후보는 유일한 진보 성향인 곽 후보였다. 이원희, 이상진, 권영준 후보가 각각 곽 후보를 라이벌로 지목했는데 이유는 대동소이했다. 공약이나 이념을 비교해볼 때 자신과 가장 대비되는 후보라는 것이다. 가장 보수적인 후보로 평가받는 이상진 후보(서울시 교육위원)는 “전교조와 야당이 지지하는 후보이기 때문”에, 권 후보는 “이념적으로 대립되기 때문”에 각각 곽 후보를 라이벌로 꼽았다.
보수 성향 후보 중에는 이원희 후보가 같은 성향의 김성동 후보와 남승희 후보로부터 각각 라이벌로 꼽혔다.
◇후보들의 ‘숨은 공약’…서울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설문을 통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각 후보의 ‘숨은 공약’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비리 척결을 둘러싼 공약들이 눈에 띄었다.
이원희 후보는 “모든 비리는 ‘라인’에서 비롯된다. ‘연줄’이 아닌 실력 중심의 인사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공언한 뒤 ‘교육비리감시시민위원회’ ‘시설구매납품선정위원회’ 설치를 약속했다.
곽 후보는 개방형 인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시민참여인사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교육장뿐 아니라 장학사 등에 대해서도 공모제를 실시하고 그 과정에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영숙 후보는 “비리에 연루된 교육공무원의 명단 공개와 함께 교사들의 교원 자격을 5년 단위로 점검하는 ‘5년 단위 갱신제’를 도입하겠다”며 학부모감사관제도 실시를 다짐했다.
서울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한 해석은 서로 달랐다. 곽 후보와 김성동 후보는 교육비리를, 이원희 후보는 학교·지역별 학력 격차를, 김영숙 후보는 공교육에 대한 학생·학부모의 신뢰감 상실을 지목했다.
◇이념 성향 따라 입장 달라=이번 선거전의 핫이슈로 떠오른 무상급식 문제와 민주노동당에 가입한 전교조 교사에 대한 중징계 등에 관해서는 이념적 성향에 따라 입장이 갈렸다. 무상급식의 경우 6명의 보수 후보는 모두 “전면 도입은 무리”라는 입장을 취했다. 전교조 중징계 사태를 놓고는 보수 후보 중 권 후보를 제외한 5명이 “합당한 조치”라고 답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공개에 대해서도 보수 후보들은 남 후보를 뺀 나머지 5명이 찬성했다. 반면 곽 후보는 이들과 대부분 항목에서 반대 입장을 표시했다.
한편 진보와 보수로 갈린 시민사회단체들의 특정 후보 지지 선언은 이날도 이어졌다. 참여연대 등 200여개 진보 성향 시민사회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곽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반면 사회정의실현시민연합 등 130여개 보수 성향 시민사회단체는 이원희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