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메이카 군경-갱단 유혈충돌… 사망자 60명 넘어
입력 2010-05-26 21:13
갱단 두목을 체포하기 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한 자메이카에서 군경과 무장갱단이 사흘째 대치하면서 사망자가 60명을 넘어섰다고 AFP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망자 대부분은 민간인이었다. 앞서 경찰은 유혈 사태로 민간인 26명과 군인 1명을 포함해 최소 30명이 죽고 32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자메이카 당국은 미국 법무부가 갱단 두목 크리스토퍼 코크를 마약과 무기밀매 혐의로 신병 인도 요청을 함에 따라 지난주 그의 검거에 나섰다. 그러나 전국의 갱들이 그를 보호하기 위해 무장한 채 수도 킹스턴으로 집결했고, 의회 주변 티볼리 공원에서 바리케이드를 치고 강력히 저항하고 있어 체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차례 총격전과 차량 탈취, 약탈이 벌어졌다. 주민들도 ‘두더스(코크의 애칭·Du dus)를 내버려둬라’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자메이카 정부는 23일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지역민들에게 코크는 ‘두더스’ ‘대통령’으로 불리고 있다. 현지 언론 글리너 신문의 안드레 라이트 편집장은 “킹스턴 지역에서 코크는 주민을 보호하고 직장도 알선하는 ‘작은 대통령’”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여당인 노동당과 노동당 소속 브루스 골딩 총리도 미국의 신병 인도 요청을 거부했다. 자메이카는 예전부터 정치권과 갱단이 유착해 왔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선거 때마다 갱단이 정당에 자금을 대고 마약 밀매를 눈감아주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고 전했다. 노동당은 코크의 갱단으로부터 재정적 후원을 받았다. 골딩 총리도 1992년 코크의 아버지이자 악명 높은 ‘샤워 파시’ 갱단의 두목이었던 레스터의 장례식에도 참석, 친분을 과시한 바 있다. 그러나 골딩 총리가 최근 신병 인도로 입장을 바꿨다. 미국 법률회사에 의뢰해 코크의 인도 반대 로비를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비난 여론이 일어난 게 원인이었다.
코크가 미 법정에 서게 되고, 혐의가 입증되면 종신형에 처해질 가능성이 크다. 코크는 자메이카 대법원에 송환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소송을 낸 상태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