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여전히 ‘천안함’보다 ‘6자’… 양국 냉각기 길어질듯
입력 2010-05-26 00:40
천안함 사태를 둘러싸고 갈등 기미를 보여 온 한·중 관계를 이전 상태로 복원하려는 노력이 본격화됐다. 그러나 양측의 입장차가 너무 커 간극을 좁히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핵 6자회담 의장인 중국의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는 25일 서울에서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잇따라 만났다. 우리 정부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방침과 28일 열릴 한·중 정상회담 등이 논의 테이블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우 대표는 면담에서 “천안함 조사 결과를 진지하게 검토했다”면서 “그러나 그것에 대한 평가는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 대표는 이어 6자회담 파트너인 위 본부장과 오후 2시30분부터 1시간30분 동안 마주앉았다. 위 본부장은 천안함 사태의 엄중성과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으나 우 대표는 모호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 대표는 “북한에 대해 자제를 촉구하고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그러나 이 당국자는 “우 대표는 위 본부장에게 ‘북한의 소행이다, 아니다’라는 언급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우 대표는 “‘6자회담이 잘 돌아갔었으면 더 좋지 않았겠느냐, 상황이 낫지 않았겠느냐’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6자회담이 조기에 재개됐으면 천안함 사태와 같은 도발 행위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중국 측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상황들을 종합해 볼 때 중국이 천안함에 대한 최종 입장을 내놓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안보리 제재 수위와 수순, 시점을 놓고 중국과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는 게 우리 정부의 입장이다. 중국의 입장 표명이 계속 지연될 경우 안보리 회부 절차를 밟겠다는 방침이어서 한·중 관계가 더욱 냉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면서 북한에 제대로 된 신호를 주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이 어제(24일) 담화를 통해 밝힌 유엔 안보리 문제를 포함한 대북 대응책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천안함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의 공식적인 사과와 관련자에 대한 조치, 추후 다시 도발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우선돼야 한다고 본다”면서 “시대에 맞지 않는 무력도발이 국제사회에서 용납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남도영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