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원평가에 학력신장 결과 반영해야
입력 2010-05-25 18:10
국가교육의 목표는 나라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동량들을 많이 양성하는 데 있다. 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교육 격차를 해소하는 일이다. 우리나라 교육은 그동안 경쟁을 통한 인재 육성에만 치중한 나머지 학력이 뒤떨어지는 학생들을 너무 등한시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런 점에서 서울시교육청이 그제 발표한 ‘2010 서울학생 학력신장 방안’은 눈여겨볼 만하다. 진급을 해도 수업을 따라갈 수 없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학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방안에서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7월 실시되는 올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부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을 초등학교 6학년은 1.2%, 중학교 3학년은 6.5%, 고등학교 2학년은 3.5%로 감축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제시했다.
문제는 이를 어떻게 달성하느냐인데 시교육청이 내놓은 주된 해법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교원 평가에 반영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교총은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 감축 목표제와 성취도 평가 실적 반영이 교사들의 의욕을 더욱 떨어뜨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학생 개개인의 학습 부진에 대한 원인부터 먼저 분석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한다.
서울시교육청의 방안이 교원들에게 심리적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일 터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교원들의 입장이 아니라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의 입장이다. 지난해 전국 단위로 실시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이 상당히 많았다. 수업을 못따라가 겉도는 학생들의 학력 끌어올리기가 시급한 교육 현안으로 대두된 것이다.
이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선 무엇보다 교사들의 열정과 책임감이 요구된다. 수준별 이동수업이나 맞춤형 교육 같은 제도 보완도 긴요하지만 결국 성패는 교사들의 노력과 태도에 달려 있다. 교사들의 적극성을 이끌어내기 위해선 학력성취도 결과를 교원 평가에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열심히 가르쳐 좋은 성과를 낸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의 옥석 구분은 당연한 일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