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천안함 대국민담화] 개성공단 인원 ‘절반’ 축소
입력 2010-05-24 22:07
남북교류 상징인 개성공단이 존폐 위기에 처했다. 정부가 24일 현지 체류인원 축소 방침을 정한 데다 북측도 강경 수단을 동원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개성공단은 사실상 문을 닫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개성공단은 남측이나 북측 모두 ‘양날의 칼’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당장은 섣부른 조치를 취하기는 쉽지 않다. 즉 남측으로서는 진출 기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고, 북측으로서는 캐시카우를 잃기 때문이다.
통일부는 이날 개성공단 체류인원 축소와 관련, “전반적으로 50∼60% 정도면 생산에 차질이 없으면서 신변안전 효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이 같은 입장을 천안함 대응조치 발표와 동시에 개성공단 기업들에 통보했다고 덧붙였다. 개성공단에 체류 중인 남측 체류인원은 평일 1000명 정도이며 주말에는 300명 안팎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개성공단 문제는 특수성을 감안해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한 것도 기업들이 주목하는 부분이다. 당장은 유보적 대응을 내놨지만 남북관계 상황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통행차단 등 북측의 강경대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S사 관계자는 “지난 주말 내려온 현지 근무자 15명 모두 이날 정상적으로 개성에 출근했다”면서 “정부가 당장 개성공단에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한 만큼 생산 축소나 철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입주기업들 사이에서는 북한 당국이 근로자와 가족 등 10만명 이상이 생계를 의존하는 개성공단을 폐쇄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