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제금융 합동대책반 본격 가동
입력 2010-05-23 19:36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 직후 경제부처의 움직임이 기민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 1차관을 반장으로 국제금융, 국내금융, 수출, 원자재, 물가 등 5개팀으로 구성된 합동대책반도 23일 활동을 시작했다. 이 정도 규모의 합동대책반이 가동된 것은 지난해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처음이다. 한반도 위기가 최악으로 치달았던 당시와 맞먹는 비중을 두고 실물경제 관리에 나선 셈이다.
임종룡 재정부 1차관은 23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첫 합동대책반 회의에서 “천안함 사태 원인 발표와 남유럽 재정불안이 겹치면서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이 오르는 등 일부 영향이 있었다”며 “다만 수출 원자재 물가 등 실물 경제에 별다른 이상 징후가 없고, 국제금융시장에서 외평채 가산금리가 하락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금융위원회와 지식경제부를 아우르는 합동대책반을 꾸린 이유는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막기 위함이다. 남유럽발 재정위기에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고조되면서 시장의 불안이 공포로 돌변하는 것을 사전에 막겠다는 것이다.
재정부도 이날 회의결과 보고서를 통해 “향후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는 등 사태가 크게 악화되지 않는 한 천안함 사태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임 차관은 “해외에서도 우리 경제에 직접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대북 제재 등 사후처리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논란과 한반도 긴장고조다. 일시적이고, 제한적인 영향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국제금융시장이 취약한 상황이라 투자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국내 금융시장을 관장하는 금융위도 바빠졌다. 금융위는 이날 오후 금융감독원과 비상금융 합동대책반회의를 갖고 금융시장 동향에 대한 밀착 점검에 나섰다. 연휴 이후 금융시장의 시작을 ‘블랙 먼데이’로 만들지 않기 위한 포석으로 시나리오별 대응체계도 재점검하는 등 선제적인 대응책도 논의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시장의 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고, 불안 심리를 최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