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조사 발표 이후] 美 “안보리 회부 논의 중… 北 더 고립될 것”

입력 2010-05-21 18:09

미국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등 전 세계 외교·안보를 다루는 주요부처의 20일(현지시간) 일일 정례브리핑은 전날 한국 정부가 발표한 천안함 사건 조사결과로 시작됐다. 기자들의 질문도 많았고, 대변인들의 답변도 길었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 시작부터 “미국의 대북 후속 조치는 무엇인가” “북한이 전면전도 불사하겠다고 하는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유엔 안보리에 회부할 것인가” “군사적 대응을 할 것인가” 등등 쏟아지는 백악관 출입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해야만 했다.

기브스 대변인은 안보리 회부 여부에 대해 “다른 국가, 기구들과 후속 조치를 협의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와도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면서 “테이블 위에 많은 것이 올려져 있다”고 말해 논의 중임을 시사했다.

그는 이어 “지난 수년간 강력한 제재조치도 있었지만, 북한은 이번 공격 행위로 국제사회로부터 더욱 고립될 것”이라면서 “후속 조치에 대해 한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무부 브리핑 분위도 마찬가지였다. 필립 크롤리 공보담당 차관보는 후속 대응과 관련, “우리가 집단적으로, 또 우리 권한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들이 있다”면서 “금융 및 다른 분야에서 독단적으로 조치들을 취할 권한을 갖고 있으며, 북한에 명백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한·중·일 방문에서 북한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질 것이며, 앞으로 효과적인 대북 조치에 대해 관련국들 간 협의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테러지원국 재지정 문제에 대해 “천안함 사건이 (재지정에)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검열단 파견 제의에 대해선 “잃어버린 어뢰가 있는지를 조사해 보고 싶다면 좋은 방안이 될 것”이라고 일축했다.

국방부 브리핑에선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 멀린 합참의장이 미국은 군사적 측면에서 한국과 긴밀히 협의하고 지원할 것임을 강조했다. 게이츠 장관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는 한국이 주도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며 “한국 정부가 몇 가지 후속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멀린 합참의장은 “한반도에 배치된 미군은 현재 상황을 확고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안으로 주한미군의 경계수준을 변화시키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천안함은 의회에서도 뜨거운 이슈였다. 중진 상·하원 의원들도 잇따라 개인 차원의 대북 규탄성명을 발표했다. 민주당의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 짐 웹 상원 외교위 아·태소위원장, 조 리버맨 상원 국토안보위원장, 에니 팔레오마베가 하원 외교위 아·태소위원장, 공화당의 짐 인호페 상원 외교위 동아·태소위 간사, 일레나 로스-레티넨 하원 외교위 간사, 샘 브라운백 상원의원 등이다. 의원들이 특정 사안에 대해 이같이 집중적으로 개별 성명을 낸 것은 드물다. 하원의 대북 결의안도 이날 발의돼 다음 주초 전체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이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