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화를 살려라”… 美-유럽 안간힘
입력 2010-05-21 18:05
유로화를 살리기 위해 유럽과 미국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 미국과 유럽이 유로화 폭락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특단의 조치를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가 지난해 12월 이후 17% 이상 떨어지면서 미국은 대유럽 수출경쟁력 약화를, 유럽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한 자구책이라는 것이다.
WSJ은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이 유로화 안정을 위해 이미 취한 통화스와프 약정 이외에도 구두경고나 공동성명 발표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의장인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는 20일 “유로화 환율 급락을 우려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유로존 문제에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이견은 없다”고 말했다. 이는 독일의 공매도(naked short selling) 금지 발표를 둘러싸고 두 나라가 마찰을 빚고 있다는 지적을 의식한 발언이다. 그는 “유로존 국가들의 재정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일정 비율 이하로 유지하도록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메르켈 총리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메르켈 총리가 추진하는 금융산업 규제와 유로존 개편계획에 프랑스도 동조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날 공동 회견을 가진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도 “유로존의 성공이 영국의 이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거들었다.
비장의 카드는 중국이다. 효과는 의문이지만 세계 최대의 달러화 채권 보유국인 중국이 유로화 채권도 사들이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은 2000년 유로화 폭락을 막으려고 일본 영국 캐나다 등과 함께 유로화를 대거 매입한 적이 있다. 결과는 직접 개입이 오히려 시장의 불안을 가중시켜 유로화 가치를 더욱 폭락시켰다.
유로화 폭락의 여파로 미국과 아시아의 증시도 연일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18일 독일의 공매도 금지 전격 도입이 불안을 키웠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 “독일이 주변국과 상의하지 않고 이 같은 조치를 취해 유로존 국가들 간에 공조가 원활하지 않다는 우려가 커졌다”며 “유럽의 금융 위기가 정치권의 혼란으로 이어지면서 미국의 경제 회복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공포가 월스트리트를 뒤덮고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미국도 유럽과의 공조에 나섰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다음주 영국과 독일을 방문해 유럽 재정 위기 대책을 논의한다. 미국 재무부는 “유럽의 경제 상황과 국제사회의 신뢰, 금융 안정을 회복하고 지속적인 경기회복을 위해 어떤 조치들이 이뤄지는지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