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문 해소 나서되 적전분열 경계를

입력 2010-05-21 17:39

천암함 침몰은 북한 잠수정의 어뢰 공격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민·군 합동조사단은 침몰 해역 부근에서 수거해 공개한 어뢰의 꽁무니 부분(프로펠러, 샤프트, 추진 모터 등)을 포함, 여러 가지 결정적인 증거들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북한 소행임이 분명하다고 발표했다.

우리는 합조단의 결론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럼에도 합조단의 조사 결과에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항간에는 의도적으로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또한 이를 다시 부풀려 전달하는 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30t 연어급 소형 잠수정이 1.7t이나 되는 중어뢰를 발사할 수 있는 것인지, 이전까지는 거론되지 않았던 100m 물기둥 존재에 대한 신빙성, 공개된 어뢰 파편의 부식이 침몰기간에 비해 지나친 것은 아닌지 등등의 의문이 쏟아지고 있다.

의문을 잠재우는 것은 결국 정부와 합조단의 몫이다. 완벽한 조사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합조단은 제기된 의문에 대해 성의를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침몰 직후 군은 잠수정의 느린 운항속도, 잠항 능력 등을 고려할 때 북한 잠수정은 천안함과 연관이 적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조사결과와 전혀 달랐던 초기 견해에 대해서도 해명하는 등 정부는 의문 해소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물론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는 경계해야 한다. 행정안전부가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근거 없는 비방이나 불법 행위에 대해 각별히 점검하겠다고 밝혔지만 그에 앞서 네티즌의 현명한 대응이 요청된다. 호기심을 자극하는 밑도 끝도 없는 주장에 대해선 이성적인 판단을 앞세워 스스로 차단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치권은 천안함 피격 침몰사태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이번 사태는 분명 군의 경계태세에 적잖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하지만 일부 야당은 정작 도발행위를 한 북한에 대해서는 입을 다문 채 정부와 군에게만 화살을 겨누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지방선거 전략임을 모르는 바 아니나 안보 문제는 여야를 떠나 국민의 생존과 직결된 것이다. 적전분열은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