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조사결과 발표] 中에 막힌 천안함 외교… 안보리 회부 중국설득 안간힘

입력 2010-05-19 18:30


우리 정부의 천안함 외교 무대가 한반도를 지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 이동 중이다. 정부는 천안함 사건을 안보리로 가져가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안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한·미 양국은 26일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천안함 사태 향후 대응 조치와 조사 결과에 의구심을 표출하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설득 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정부는 18일 중국과 러시아, 일본을 상대로 천안함 조사 결과 사전 브리핑을 진행했다. 19일에도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 주한 대사들을 외교통상부 청사로 불러 브리핑을 계속했다. 특히 안보리 상임이사국(P5)이면서 북한과 전통적 우호관계인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브리핑에 각별히 신경쓴 것으로 알려졌다.

이틀에 걸쳐 30여개 주요국 대사들에게 일일이 우리 정부의 천안함 조사 결과를 설명한 것은 안보리 회부를 위한 사전 준비 성격이 짙다. 안보리에서 실효성 있는 대북 제재를 끌어내기 위해선 국제사회의 협조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정부 구상대로 일이 풀릴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안보리 논의의 키를 쥔 5개 상임이사국 중 하나인 중국이 대북 제재 움직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점이 최대 걸림돌이다. 우리 정부가 중국 설득에 공을 들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 측면에서 다음주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더욱 중요하다. 회담에서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를 중심으로 한 군사동맹 강화 방안이 구체화될지 주목된다.

한·미 양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경우 천안함 외교는 한·미 대(對) 북·중의 대결 모드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