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따로따로 움직이는 3D 정책
입력 2010-05-19 21:28
‘한 지붕 두 시어머니?’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가 3차원(D) 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해 ‘힘겨루기’를 하는 모양새다.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19일 3D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15년까지 41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영상콘텐츠의 20%, 영화스크린의 50%를 3D로 전환한다는 것. 이를 보면 3D 콘텐츠 주무부처는 문화부인 듯 보인다. 그러나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열린 3D 시범방송 행사엔 유 장관과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나란히 참석했다. 3D를 놓고 두 부처 수장이 같이 관여하고 있는 것.
문화부는 3D 콘텐츠 분야에 집중하고 있고 방통위는 이름처럼 TV와 방송 콘텐츠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이를 무 자르듯 딱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다. 그러다보니 업체들은 ‘두 시어머니’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다. 지식경제부와 문화부, 방통위 등이 포함된 ‘3D 산업 통합기술로드맵 기획단’이 출범했지만 로드맵은 10월에야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3D 규제, 진흥 주도권을 놓고 아직 확실한 정리가 안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부처간 혼선에 따른 부담은 고스란히 업계 몫이다. 과거 게임업계도 같은 일을 겪었다. 온라인 게임을 놓고 초고속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정보통신부, 게임 콘텐츠라는 점에선 문화부가 관여했다.
3D 부문에서도 게임업계가 겪었던 혼란이 다시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 자체가 초반이다 보니 업계에서도 정부에서도 혼선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정말 진흥을 원한다면 규제든 지원이든 가급적 빨리 창구를 단일화해 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