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글 새겨진 어뢰 파편 찾았다…천안함 北소행 결정적 단서 확보
입력 2010-05-19 04:17
천안함 사고 원인을 규명 중인 국방부 민·군 합동조사단이 한글이 새겨진 어뢰 스크루 파편을 발견한 것으로 밝혀졌다. 어뢰 파편에 한글이 새겨져 있다는 것은 북한의 소행이라는 결정적인 증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18일 “지난 주말 사고해역에서 어뢰의 추진체인 스크루 파편을 발견했는데 이 파편에 한글이 새겨져 있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글은 스크루의 날개와 중심축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보이는 파편에 있었다”면서 “알루미늄 합금이 상당히 조잡하고, 한글이 있는 것을 볼 때 북한 어뢰 추진체의 일부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한글의 내용이나 글자수는 밝히지 않았다.
우리 해군이 7년 전 남해에서 수거한 북한의 시험용 어뢰에 주체사상을 의미하는 ‘주체’라는 글씨가 쓰여져 있었던 사실로 미뤄볼 때 이번에 발견된 파편에 새겨진 한글도 이와 유사한 내용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스크루 파편은 지난 주말 사고해역에 투입된 민간 쌍끌이 어선이 수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스크루 파편은 합금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을 만큼 작지 않은 크기”라며 “알루미늄 합금이 상당히 낙후된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보여 현재 서방에서 사용되는 것은 아닌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알루미늄이 주성분인 스크루는 공산권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파편 상태로 볼 때 최근에 제조된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러한 물증을 토대로 합조단은 20일 발표될 조사 결과 발표문에 천안함의 침몰 원인을 ‘북한의 소행’이라고 적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안보정책조정회의에서 그간 진행된 조사 결과를 설명했으며, 합조단의 발표문 초안도 회람됐다. 초안에는 북한의 잠수정이 공해를 거쳐 백령도 인근에 들어와 근접거리에서 천안함에 어뢰를 발사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군 당국은 침몰 당시 유실됐던 디젤기관을 추가로 인양했으며, 가스터빈은 현재 침몰 위치를 파악한 상태로 조만간 인양할 계획이다. 군은 19일 천안함 절단면을 언론에 공개할 예정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