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박재찬] 속내 의심스런 ‘재탕삼탕’ 남해안 개발
입력 2010-05-18 18:42
국토해양부는 18일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 보도자료를 돌렸다. 국토부는 지난달 21일에도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 자료를 배포했었다. 불과 한 달도 안 된 똑같은 자료다.
지난해 12월 초 내놓은 ‘동·서·남해안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 수립’ 자료까지 포함하면 ‘삼탕’인 셈이다. 3개 자료 모두 내용은 대동소이하고, 회의 주체만 달랐다. 지난해 12월과 지난달에는 대통령 직속기구인 ‘지역발전위원회 3차 및 7차 회의’에서 정종환 국토부 장관이 보고했고, 이날은 국무총리가 주관하는 ‘제1차 동서남해안권발전위원회’에서 상정·의결됐다는 몇 줄만 다를 뿐이었다.
자료의 주된 내용은 부산과 전남, 경남 해안선에 위치한 35개 시·군·구 지역을 2020년까지 ‘경제·물류·휴양의 허브’로 개발한다는 것. 6·2 지방선거를 불과 2주 남겨둔 시점에서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똑같은 자료를 내는 것이 ‘선거용’이 아닌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다. 더구나 자료에 담긴 내용은 대부분 청사진을 그린 ‘아우트라인’ 수준이다.
남해·서해·동해 초광역 개발방안은 2008년 12월 처음 나왔다. 지난해 1월과 7월에도 비슷한 자료가 배포돼 세종시 개발에 따른 타 지역 민심 수습용이라는 오해를 샀다.
국토부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펄쩍 뛰었다. 담당부서 관계자는 “남해안권 개발계획은 지난 3월 말 확정됐어야 할 종합계획이었는데, 4대강사업 문제와 천안함 사태 등 예기치 못한 일 때문에 회의 일정을 잡는 데 차질이 생겼을 뿐”이라며 “‘선거용’이라는 지적은 말도 안 된다”고 해명했다.
남해안권 선벨트 종합계획은 이달 말 ‘해안권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똑같은 내용의 자료가 의미 없는 ‘4탕’이 될지,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달콤한 ‘사탕’이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박재찬 산업부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