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충남도청사 활용 논란… 대전시 “국립박물관 조성”-문광부 “국립시설은 불가”

입력 2010-05-18 22:21

대전의 충남도청사 활용을 둘러싸고 대전시와 문화체육관광부가 큰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충남도청은 2012년 홍성·예산으로 이전한다.

대전시는 “2007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 후보가 대선 공약으로 충남도청을 활용한 국립박물관 조성 계획을 발표한 만큼 원안 또는 국립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전시는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따라 충남도청사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한 뒤 5억원의 예산을 투입, ‘국립박물관 등 복합문화공간 조성 기초연구 용역’을 진행해 지난해 7월 결과물을 문광부에 제출했다.

시의 용역(안)은 기본적으로 등록문화재 제18호인 충남도청 본관 건물의 역사적·건축적 가치를 유지·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기본 방향을 갖고, 프랑스 파리의 퐁피두센터를 모델로 한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기본 계획으로 설정했다.

특히 대전 도심 한복판에 대지 2만5456㎡, 건축면적 2376㎡, 연면적 4798㎡을 차지하는 충남도청이 역사적 가치를 지닌 만큼 첨단기술과 예술을 결합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유발점이자 원도심 활성화의 중심지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문광부는 “대전시안에 타당성이 결여됐고, 기존의 국립현대미술관 등도 법인화 절차를 밟고 있는 만큼 또 하나의 국립시설은 절대 불가하다”고 주장하면서 팽팽히 맞서고 있다. 문광부는 충남도청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기본 전제에는 동의하고 있지만 당초 약속했던 국립이 아닌 시립 또는 공립시설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