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후보 등록 마감] 50∼60대·대졸 이상 고학력자 늘고 ‘女風’은 주춤
입력 2010-05-14 22:01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으로 불리는 지방선거도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6·2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마지막날인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중간집계 결과(오후 7시 기준, 9540명) 50대와 60대 이상의 후보자들이 대거 늘어난 반면, 20대와 30대는 이전보다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업난과 학력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고학력자도 급증했다.
◇지방의회 주축은 50대=이번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2888명을 뽑는 지방의원의 경우 50대 등록자가 43.4%로 제4기 지방선거 등록 당시 같은 연령대(38.3%)보다 5.1% 포인트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60대 이상도 4년 전(14.8%)보다 2.6% 포인트 증가한 17.4%로 나타났다. 반면 40대 지원자는 33.1%로 이전보다 4.3% 포인트 감소했고, 30대와 19∼29세도 각각 3.2% 포인트, 0.1% 포인트 줄어들었다. 이 같은 현상은 광역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 등 다른 선출직에서도 비슷했다. 후보 등록 전만 하더라도 청년실업 등의 이유로 20∼30대의 등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연령이 많은 후보자들이 늘어난 이유로 평균수명이 늘고 있고, 일하는 노년층이 많아진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조기퇴직 등으로 인한 요인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각에서는 선거비용이 늘어나 정치 신인보다는 어느 정도 사회적 기반을 갖춘 50대 이상이 정계 진출에 유리해진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여성과 고학력자 늘어=2006년 선거에서 두드러졌던 여풍(女風)이 이번 선거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등록후보 9756명 가운데 여성이 12.8%인 1562명에 달했다. 4년 전에는 11.54%였다. 여성이 증가한 것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기초단체장 및 기초.광역의원에 여성 의무공천 비율을 도입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광역비례와 기초비례의 경우 각각 127명, 683명이 도전해 남성(광역비례 51명, 기초비례 175명) 도전자들보다 오히려 더 많았다.
등록자들 가운데 대졸 이상자들은 모두 53.5%로 나타났다. 또 석사학위를 가진 후보자도 18.4%였다. 이는 4년 전보다 대졸 이상은 3.5% 포인트, 대학원졸 이상은 6.5%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광역단체장 및 기초단체장 후보 등록자들의 경우 전체의 34.4%, 39.5%가 석사 학위 이상을 갖고 있었다.
◇여야 텃밭 아니면 썰렁=한나라당과 민주당은 각각의 텃밭인 영남과 호남에서는 선거구 수보다 더 많은 후보자를 냈지만, 불모지인 호남과 영남에서는 후보를 거의 내지 못했다. 광주와 전남, 전북에서 한나라당 소속 후보는 아예 없거나 있어도 10명에도 못 미쳤다. 민주당의 경우도 울산과 대구 경북 경남에서 3∼9명 정도의 후보만 등록했다.
자유선진당의 경우 충남과 대전, 충북에서는 한나라당이나 민주당 못지않게 많이 등록했지만, 다른 지역은 아예 한 명도 등록하지 않은 곳도 수두룩했다. 군소정당들 가운데에서는 국민참여당이 서울과 경기를 중심으로, 친박연합은 대구와 경북, 국민중심연합은 대전과 충남을 위주로 수십명 규모의 후보들이 등록했다.
◇광역단체장 정당별 재산 편차 심해=56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13억5884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당별 후보자 1인 평균 재산은 자유선진당(27억5435만원), 한나라당(26억4681만원), 민주당(11억6398만원), 평화민주당(3억8728만원), 진보신당(3억7882만원), 민주노동당(1억4883만원), 국민참여당(1억3959만원) 순이었다. 20억원대 이상의 재산을 신고한 후보 7명 가운데 6명이 한나라당 소속이었다.
한나라당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재산은 56억3700만원으로 파악됐다. 부동산 공시지가 증가 등으로 2006년 지방선거 때의 36억2000만원보다 20억원 이상 늘었다.
◇건설업 여전히 많아=지방의원 도전자들 가운데 직업 분포가 가장 많은 사람은 지방의원들로 모두 1245명이 재선 또는 3선에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정치인이 871명이었고 농·축·수산업 종사자들(738명)이 뒤를 이었다. 지방의회와 지방토착 세력 간의 결탁으로 인한 폐해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서 건설업을 하는 사람도 216명으로 직업순위 6위를 기록했다.
손병호 김현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