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전 美국무 “천안함 사태 규명前 6자회담 재개 안돼”

입력 2010-05-13 21:41

콜린 파월 전 미국 국무장관은 13일 “천안함 사태의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해야 한다”면서 “그런 모든 분석과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6자회담 재개는 합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파월 전 장관은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반도 비전포럼에서 특별연설을 통해 “조사 결과 북한이 지목되면 북한은 또 분노하고 6자회담에 복귀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며 “북한은 외부 위협을 한없이 부각시키면서 정권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역사의 평가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1999년과 2000년 두 차례 방북했던 웬디 셔먼 전 미국 대북정책조정관도 “6자회담의 즉각적인 복귀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천안함) 조사 결과가 나오면 국제사회에서 일관된 목소리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셔먼 전 조정관은 또 “1999년 방북 당시 북한 고위 관료의 방미를 초청했지만 이듬해 10월에야 조명록 차수가 미국을 방문했다”면서 “북한의 내부 타이밍은 우리와 달라 직전 사태(대청해전)보다는 앞선 과거에 대한 보복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빅터 차 미 조지타운대 교수는 14일 발표에 앞서 미리 배포한 자료를 통해 “북한이 천안함 침몰과 관련 있는 것으로 드러날 경우 1987년 KAL 858기 폭파 사건 이후 북한이 행한 최악의 도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천안함 침몰은 분단의 냉혹한 현실을 전 세계에 보여줬다”면서 “분단은 여전히 한반도의 현재적 고통이자 미래적 과제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고위당국자는 전날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미국 6자회담 특사의 만찬회동과 관련해 “미국도 다자·양자적 조치를 포함해 여러 가지 상정 가능한 조치들의 묶음(set of actions)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천안함 조사 결과 발표에 맞춰 툴 박스(tool box)에서 툴(tool)을 꺼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미 양국은 6자회담은 당장의 이슈가 아니라는데 공통의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등 다자적인 조치를 포함해 (한·미 간) 양자적인 대응책도 검토 범위에 들어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