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후보 등록-전과] 등록 첫날 907명 금고 이상 흠집

입력 2010-05-14 01:10

6·2 지방선거 후보등록 첫날인 13일 오후 9시 현재 등록을 마친 후보자 7450명 중 금고 이상의 전과기록을 가진 사람은 907명으로 12.2%의 비율을 나타냈다.

시·도지사 후보 40명 중 전과자는 16명으로 무려 40%에 달했다. 충남에 출마한 민주당 안희정 후보는 국가보안법 위반 등 6건으로 가장 많은 전과기록을 보유했다. 같은 당 김정길 부산시장 후보는 2건(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뒤를 이었다. 진보신당 노회찬 서울시장 후보(국가보안법 위반), 노옥희 울산시장 후보(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무소속 김두관 경남 후보(집시법 위반) 등도 1건씩 전과를 가지고 있다.

기초 단체장 후보 607명 중에는 81명이 전과가 있다. 경남 창원시장에 출마한 민주노동당 문성현 후보가 6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모두 노동쟁의 조정법 위반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11명, 전남 9명 순이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19명, 민노당이 11명, 한나라당이 4명이었다.

광역의회 의원 후보의 경우 1391명 가운데 168명이 전과자로 나타났다. 상당수가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남은 기록이었지만 사기, 사문서 위조, 변호사법, 도로교통법 위반 등 다른 유형도 눈에 띄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28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6명, 강원 15명, 경남 14명 순으로 나타났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49명, 한나라당 38명, 민노당 19명, 국민참여당 5명, 자유선진당 4명으로 나타났다. 무소속은 43명이었다.

기초의회 의원 후보는 4703명 중 609명(12.9%)이 전과자였다. 전남 81명, 경기 71명, 경북 63명 순이었고, 서울은 55명이었다. 정당별로는 한나라당이 133명으로 가장 많았고 민주당 122명, 민노당 46명, 선진당 27명이었고, 무소속은 229명이었다.

시·도 교육감 후보 61명 중에는 울산시에 출마한 장인권 후보가 전교조 활동으로 2건(집시법 위반)의 전과가 있다고 신고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