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력 기준 2010년 1人 국민소득 3만달러 육박

입력 2010-05-12 21:25

올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소비 가능한 실질 구매력으로 보면 3만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내놓은 한국 경제전망 자료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구매력 지수(PPP, 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9350달러였다.

전년의 2만7977달러보다 1373달러 늘면서 3만 달러에 근접한 것이다. IMF가 올해 전망한 우리나라 1인당 명목소득 2만264달러보다 9086달러나 많은 숫자로 소비여력이 더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PPP 기준 소득은 전 세계의 물가와 환율이 동등하다고 가정할 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실질적인 삶의 수준을 보여주는 수치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4년 2만1138달러로 2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매년 1000달러 정도 증가했다. IMF는 2011년 3만 달러를 돌파하고, 2015년 3만8895달러로 4만 달러까지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의 올해 PPP 기준 소득을 명목소득으로 나눈 값은 144.8%다. 이는 명목 소득보다 PPP 기준 소득이 44.8%나 더 많다는 뜻으로 IMF가 선진국으로 분류한 33개국 가운데 대만(88.7%)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이같이 PPP 기준 소득이 높은 이유는 우리나라의 전반적 물가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같은 1달러로도 한국에서는 더 많은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다. 실제로 공산품 가격이 저렴하고 대표적인 서비스 품목인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의 수준이 낮다. 버스 등 대중교통비 역시 싸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버스요금 등 공공요금, 교육비, 사회보장세 등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싸기 때문에 구매력 기준 1인당 소득이 명목 소득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물가상승률이 둔화된 선진국에 비해 물가상승률이 커 낮은 물가를 체감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2% 후반에서 3% 초반대 양상을 보인다. 1% 내외인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높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