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2연평해전 재보상 빨리 하라
입력 2010-05-12 18:04
한나라당이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장병들에 대한 재보상을 적극 검토하기로 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2002년 6월 29일 우리나라 영해를 불법 침범한 북한군과 교전하다 숨졌음에도 국가는 이들에게 걸맞은 예우를 하지 않았다. 당시 이들에게 주어진 보상금은 3000여만원에서 5600여만원. 천안함 참사 희생자들에게 지급될 2억∼3억5000만원에 비해 턱없이 적다. 이처럼 차이가 나는 이유는 군인연금법 개정 시점이 제2연평해전 발발 이전인 2004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제2연평해전 전사자 유족들이 이제 와서 먼저 간 자식 또는 남편의 ‘목숨 값’을 더 달라고 요청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이 천안함 희생자들에 대한 예우를 보면서 씁쓸한 마음을 갖게 해선 안 된다. 전사자들에 대한 재보상이 유족들을 조금이나마 위로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믿는다.
정신적으로도 제2연평해전 전사자 유족들은 고통받았다. 남북관계를 지나치게 의식한 나머지 대통령은 물론 국방장관까지 불참한 가운데 3일 만에 해군장(葬)을 부랴부랴 마쳤다. 기념식이 정부차원으로 격상되기까지는 6년이나 흘러야 했다. 5일 동안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고, 대통령과 총리가 빈소를 찾았던 천안함 사태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초라했다. “너무너무 분하고 억울하다”는 한 어머니의 절규는 지금도 생생하다.
한나라당은 조속한 시일 내에 재보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서둘러야 한다. 만에 하나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보수층 표를 의식한 일회성 발언이라면 역풍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지방선거 이전에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기 바란다.
늦었지만, 정부가 제2연평해전을 결코 잊어선 안 된다는 자세를 분명하게 보이고 있는 점은 환영할 만하다. 올해 기념식은 처음으로 서울 용산의 전쟁기념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에 맞춰 북한 경비정의 총격을 받은 참수리 357호와 똑같은 모양의 고속정을 전쟁기념관에 전시해 청소년들의 안보교육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제2연평해전은 영원히 기억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