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의 ‘통 큰 정치’ 지켜보겠다

입력 2010-05-11 17:48

한나라당 김무성,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어제 첫 회동에서 ‘국민이 바라는 정치’ ‘통 큰 정치’를 다짐했다. 박 원내대표가 “열심히 노력해서 국민들이 바라는 정치를 하겠다”고 하자 김 원내대표는 “통 큰 정치를 하자”고 화답했다. 한국 현대사의 두 축인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밑에서 큰 정치를 배운 정치인답게 출발은 좋다.

두 사람의 리더십에 기대를 거는 이유는 정치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8대 국회는 투쟁과 대결로 얼룩졌고 지역 간, 계층 간 갈등은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 그런데도 정치권은 이를 해소하기는커녕 당파적 이해관계에 따라 부추긴 측면이 없지 않다. 여당과 제1야당의 원내대표가 바뀌었다고 해서 이 같은 풍토가 금세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인 것은 두 사람 모두 정치 경륜과 국정 운영 경험이 풍부하고, 주고받는 정치를 중요시하는 합리적 비둘기파라는 점이다.

친박계 좌장으로 불리던 김 원내대표는 박근혜 전 대표의 뜻과 달리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한 원칙주의자다. 이 일로 사실상 친박계에서 내쳐졌지만 세종시 원안과 수정안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으려는 그의 노력은 평가할 만하다. 국가이익에 반하는 계파 의견을 따를 수 없다는 뚝심은 “청와대의 지시만 받지 않겠다”는 취임 일성에도 배어 있다.

박 원내대표는 김대중 정부에서 장관과 대통령 비서실장 등 정부와 청와대 요직을 두루 역임해 국정 운영의 고충을 누구보다 잘 안다. “대통령이 성공해야 나라가 산다. 대통령의 성공을 위해 협력할 것은 협력하겠다. 야당이지만 무조건 반대하는 장외투쟁은 하지 않겠다”는 원숙함과 대범함도 이런 경험에서 나왔다. 단언컨대 민주당이 이대로만 하면 우리 정치는 한 단계 성숙한다.

두 사람 앞에는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한 수많은 난제들이 놓여있다. 당장 6월 국회에서 세종시 문제를 매듭지어야 하고, 최대 이슈로 떠오른 4대강 사업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도 풀어야 한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지만 지금의 초심을 버리지 않는다면 풀지 못할 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