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안정론-정권 심판론’ 격돌… 여야, 지방선거 20여일 앞두고 총력체제로
입력 2010-05-09 18:46
정치권이 6·2 지방선거를 20여일 앞두고 ‘선거 총력 체제’로 전환했다. 한나라당은 현역 프리미엄과 정권 안정론을 기반으로,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후보 단일화 및 정권 심판론으로 치열한 ‘수성·탈환’전을 벌이고 있다. 여야는 오는 13∼14일 후보 등록을 거쳐 20일부터 13일간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한다.
민주당은 9일 정세균 대표와 손학규 전 대표, 정동영 김근태 한광옥 상임고문, 장상 최고위원 등 6인 공동위원장 체제로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한나라당은 오는 12일 선대위원장에 외부 명망가를 영입, 중앙선대위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자유선진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군소야당들도 선거체제로 속속 전환 중이다.
한나라당은 수도권 3곳의 광역단체장이 모두 한나라당 소속인데다, 서울시장과 경기지사는 재선에 도전하는 상황을 감안, 현역 프리미엄을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핵심 당직자는 “밑바닥 민심은 여당에 불리한 흐름이 있지만, 현역들의 지지율이 탄탄해 야당 후보들의 추격을 쉽게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과 안상수 인천시장, 김문수 경기지사의 정책연대 선언도 현역단체장의 장점을 살린 전략이다.
이에 대해 야권은 일단 후보 단일화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최대 하이라이트인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과 국민참여당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경기지사 후보 단일화가 이뤄지는 13일 이후 수도권에 정권 심판론 바람이 불기 시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야권은 협상이 진행 중인 부산, 제주를 포함하면 전국 8곳 정도에서 광역단체장 후보 단일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1주기는 승기를 잡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천안함 침몰 진상조사 발표와 4대강 사업, 세종시 논란 등 이슈와 함께 선거전이 본격화될 경우, 여야의 네거티브 공방도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