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 당국자 회동… 천암함 사태 유엔 안보리 상정 등 논의
입력 2010-05-07 18:25
한국과 미국의 외교 당국자들이 7일 오후 서울에서 만나 천안함 침몰 사고 대응책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베이징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북·중정상회담을 가진 직후여서 논의 내용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외교 소식통은 “김홍균 외교통상부 평화외교기획단장과 제25차 안보정책구상(SPI) 회의 참석차 방한한 조 도노반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수석부차관보가 만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천안함 사고에 대한 양국의 대응 방안이 집중 협의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외교부 내 천안함 사고대책팀장인 김 단장은 도노반 수석부차관보와 만난 자리에서 천안함 사고와 관련한 국방부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 진행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천안함 선체와 사고해역 인근 해저 뻘에서 외부 폭발의 결정적 증거(스모킹 건)가 될 수 있는 화약성분이 검출돼 침몰 원인이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한층 더 커짐에 따라 협의에서는 향후 대북 제재를 비롯한 양국의 공동 대응 방안이 모색된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이번 사고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상정하는 문제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현재 행정명령 13382호에 따라 원자력 총국과 조선단군무역회사 등 23개의 북한 기관 및 기업과 김동명 단천상업은행장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고 자산동결 및 거래금지 등의 제재를 취하고 있다.
아울러 김 단장과 도노반 수석부차관보는 지난달 말 워싱턴에서 열린 3차 대북정책협의회에서 논의된 북핵과 평화체제 문제 등 북한 문제 전반에 관한 후속 협의도 진행했다고 외교 소식통은 전했다.
SPI 회의 참석을 위해 지난 5일 방한한 도노반 수석부차관보는 김 단장을 비롯해 장호진 북미국장 등 우리 외교 당국자들을 잇따라 만난 뒤 8일 출국할 예정이다.
다른 외교 소식통은 “천안함 사고 조사 결과 발표(오는 20일 이전)를 전후해 미국 정부 당국자가 한 차례 더 방한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양국 간에 본격적인 대응책 협의가 이뤄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PI 회의 미국 측 수석대표인 마이클 시퍼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는 우리 측의 천안함 침몰 원인 규명 작업과 관련해 “한국이 진행 중인 조사과정에 상당한 신뢰성이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의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