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천안함 결과 통보땐 중국도 역할할 것”
입력 2010-05-07 22:07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난기류가 형성됐던 한·중 관계가 급속도로 진정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7일 천안함 침몰 사고와 관련해 ‘중국 역할론’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정몽준 대표 등 한나라당 지도부와 가진 청와대 조찬 간담회에서 “천안함 사건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 결과가 나오면 중국 측에 통보하고 협의하게 될 것”이라며 “그렇게 할 경우 중국 정부도 납득하고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천안함 침몰 원인 규명→중국에 통보 및 협의→중국 협조’라는 기존 우리 정부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재확인한 것이다. 더불어 한국과 중국 관계는 흔들림이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기도 하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올 들어 여러 차례 중국 방문을 요청하고 일정도 만들어졌다”며 “그러나 (중국은) 우리와 만나기 전 먼저 북한과 만나는 것이 문제가 있다는 생각에서 북한 지도부의 방문을 며칠 미룬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김 위원장의 방중을 요청했으나 중국 정부가 우리를 먼저 만나기 위해 북한의 요청을 연기했다는 뜻으로 들리는 발언이다. 하지만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중국이 북한의 방문 요청을 연기했다는 문건이나 발언이 있는 것은 아니다”며 “이 대통령 방중에 이어 김 위원장이 방중한 것을 볼 때 중국 측의 고민과 한국에 대한 배려가 엿보인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중국도 신속한 북·중 정상회담 브리핑으로 화답했다. 중국 정부는 이날 오전 9시 류우익 주중 대사를 불러 김 위원장의 방중 결과와 배경 등을 공식 브리핑했다. 김성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중국은 김 위원장의 방중 결과를 우리 정부에 가장 먼저 통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지금까지 우리정부와 긴밀히 협력해왔고,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전해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중국 역할론 공개 발언과 중국의 브리핑이 맞물리면서 갈등을 빚는 듯했던 한·중 관계는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외교통상부의 항의,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김정일 방중 허용은 주권 문제”라는 반박 등을 한 번씩 주고받은 뒤 다시 화해 기류가 조성된 셈이다.
정부는 일단 한·중 관계를 회복시키고, 천안함 사고 해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5월 중순 천안함 사고 원인 발표가 이뤄진 뒤 5월 말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일본 총리 등에게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밝히고 협조를 구할 가능성이 높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