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안보 조치’ 강구”… 韓·美, SPI 회의서 합의
입력 2010-05-06 21:44
한국과 미국은 6일 천안함 조사 결과에 따라 필요한 안보 조치를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양국은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비공개로 제25차 안보정책구상(SPI) 회의를 갖고 천안함 침몰과 공동조사 과정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뒤 이같이 합의하고 긴밀한 정책 공조와 협력을 유지키로 했다. 특히 이번 회의는 천안함 선체에서 외부 폭발의 결정적 증거(스모킹 건)가 될 수 있는 화약 성분이 검출된 이후 열렸다는 점에서 필요한 안보 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군 일각에서는 검출된 화약 성분이 어뢰 탄약으로 밝혀질 경우 북한의 군사적 도발의 명백한 증거가 될 수 있는 만큼 동·서해상에서 양국 연합 무력시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김태영 국방장관도 월터 샤프 한미연합사령관과 전화 통화를 한 것으로 알려져 천안함 사고 조사 결과 발표 이후 대응 방안에 대한 협의를 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양국은 또 2012년 4월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작업을 평가했으며, 천안함 침몰 조사 결과 북한의 도발로 드러날 경우 전작권 전환을 어떤 수준에서 진행할지에 대한 의견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군사 도발이 드러나면 전작권 전환 작업을 추진하는 전제조건인 한반도 안보상황 평가에 이를 반영하겠지만 국가 간 합의사항을 단번에 조정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회의에는 우리 측에서 장광일 국방정책실장이, 미국 측에서는 마이클 시퍼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가 각각 대표로 참석했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