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교통사고 사망 절반이 국도·지방도서 발생
입력 2010-05-05 18:30
노인 교통 사망사고의 절반은 국도와 지방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찰청 교통관리관실은 5일 “지난해 교통사고로 숨진 65세 이상 노인 1826명 가운데 987명(54.1%)이 국도나 지방도에서 사고를 당했다”며 “노인 사망사고 절반 줄이기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2006년 6327명에서 지난해 5838명으로 7.7% 감소했다. 그러나 노인 사망자는 2006년 1700명에서 지난해 1826명으로 7.4% 늘었다. 특히 교통안전시설이 부족한 국도와 지방도에서 사망사고가 많이 일어났다. 지역별로는 경북의 국도와 지방도에서 가장 많은 185명이 숨졌다. 이어 경기 163명, 전남 159명, 충남 133명, 경남 104명, 전북 94명, 충북 67명, 강원 62명, 제주 20명 순이었다.
경찰은 국도나 지방도의 전봇대, 가로수에 야광 반사지를 붙이고 마을 입구 주변에 가로등과 서행표지판을 세우기로 했다. 경로당과 근린공원 등 노인 밀집 지역에는 건널목, 신호등을 추가로 설치하고 담당 교통순찰팀을 지정해 속도 및 주정차 위반 차량을 단속하기로 했다.
경찰은 이달 중순 전국적으로 ‘농기계 경광등 다는 날’ 행사를 열고 지방경찰청장이나 파출소장 등이 직접 경운기에 경광등을 달아줄 예정이다. 또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65세 이상 노인이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할 경우 시내버스 무료 승차나 택시요금 할인 등 혜택을 주는 ‘운전면허반납제’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 제도는 일본에서 시행 중이다. 지난 4월까지 65세 이상 노인 면허 소지자는 115만명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