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D-28] 실세 힘겨루기·여론 조작 의혹… 자질 검증은 뒷전
입력 2010-05-04 15:13
여야 막바지까지 끊이지 않는 공천잡음
6·2 지방선거 공천작업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하지만 여야가 다짐했던 ‘클린 공천’은 이뤄지지 않았다. 비리전력이 있는 후보도 버젓이 공천을 받았고,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한 정당 실력자들의 힘겨루기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여론조사 조작 의혹도 심심찮게 제기됐다. 인재 영입이나 외부 전문가 영입은 말뿐이었다. 결국 능력과 자질이 아니라 현역 의원이나 여야 실세들과의 친분이 공천의 보증수표임은 이번에도 입증됐다.
◇경선 여론조작 의혹 잇따라 제기=경선 방식인 여론조사에 대한 문제제기도 잇따르고 있다. 민주당은 당원 여론조사를 통해 김만수 전 청와대 대변인을 부천시장 후보로 확정했다고 지난달 28일 발표했다. 그러나 김 전 대변인과 경합을 벌였던 김기석 전 열린우리당 의원은 여론조사가 조작됐다며 중앙당에 재심을 신청했다. 김 전 의원을 지지하는 당원 350여명을 제외한 채 여론조사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전 대변인측은 “후보와 전혀 관련 없는 여론조사 기관이 실시한 조사 결과를 문제삼는 것은 억지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지난달 29일 김영종 후보로 결정된 민주당 종로구청장 경선에서도 비슷한 의혹이 제기됐다. 정흥진 후보 측은 “당초 당원선거인단 투표는 진성당원 300명을 대상으로 하기로 했으나 서울시당이 일방적으로 선거인단 수를 500명으로 늘렸다”며 “이 과정에서 당원 위장전입 등이 이뤄져 김 후보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앞서 강운태 후보로 결정된 광주시장 경선에서도 이용섭 의원이 ‘지역신문사의 여론조사 개입 의혹’을 제기했었다. 한명숙 전 총리와 이계안 전 의원이 나선 서울시장 경선에서는 여론조사 항목을 놓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공천 뒤집기 논란=한나라당은 최고위위원회의와 경기도당 공심위원회, 당협위원장 간 이견으로 7개 지역 기초단체장 공천이 늦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의정부는 도당 공심위가 시장 후보로 김남성 전 도의원을 확정해 최고위가 이를 심의, 의결했지만 1시간여 만에 이를 번복하고 ‘보류 지역’으로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원시는 현역인 김용서 시장이 도당 공심위 공천에서 탈락했지만 일부 당협위원장이 본선 경쟁력을 고려해 김 시장을 지지하면서 최고위에서는 보류 지역으로 분류됐다.
용인시도 최고위는 여성 전략공천 지역으로 선정해 발표했으나 지역 당협위원장들이 반발하면서 결국 남성 예비후보 가운데 공천을 주기로 했다.
◇준비 안된 ‘여성 공천’은 파행만 불러=한나라당은 당초 서울 강남에 2∼3명, 강북 지역에 1명을 기초단체장 여성 후보로 공천하겠다고 공언했다. 현재 신연희 전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관이 강남구청장 후보로, 구혜영 전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소장이 광진구청장 후보로 내정됐다. 신 후보 공천은 험난했다. 신 후보는 당초 송파구청장을 염두에 뒀으나 해당 지역구 반발로 강남구청장 쪽으로 선회했고, 이번에는 이종구 의원(강남갑)이 반대했다. 이에 당 인재영입위원회는 판사 출신 이은경 변호사를 영입하려 했으나 이 역시 이 의원 반대로 무산됐다. 결국 돌고돌아 신 후보로 낙점됐다.
그러나 송파구청장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인재영입위는 박인숙 울산대 의대 교수를 영입했으나 송파지역 당협위원장들과 지역 당원들이 반발하자 박 교수가 후보를 사퇴해버렸다.
경기도 역시 2곳 이상을 여성으로 전략 공천한다고 했으나 그나마 당선권으로 분류되는 용인시장은 마땅한 인물을 찾지 못하겠다면서 여성 공천을 포기했다.
노석철 기자 sc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