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유시민, 후보 단일화 방식 합의

입력 2010-05-03 21:58


경기지사 선거에 출마한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과 국민참여당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단일화 방식에 전격 합의했다.

두 사람은 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참여경선 50%+여론조사 50%’로 경선 규칙을 확정하고, 13일 오전 10시에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동회견문에서 “멋지게 경쟁하여 단일후보를 만들겠다”며 “이명박 정권의 국정 실패와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도정 실패를 심판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과 참여당은 5∼10일 무작위로 투표대상자를 모집한 뒤 경기도의 인구·성비·권역 등의 비율에 맞춰 1만5000명을 추출할 예정이다. 정책정보 제공 차원에서 홍보자료를 발송하고 1차례 TV토론을 실시할 예정이다. 전화조사를 통해 11∼12일 경선인단을 대상으로 지지후보를 묻게 된다.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뒤 지지후보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공론조사 방식을 활용키로 했다.

나머지 50%를 차지하는 여론조사는 가상대결에서 경쟁력을 묻는 방식으로 결정됐다. 여론조사는 전문기관 2곳이 12일 경기도민 2000명을 상대로 각각 전화설문을 실시한다.

일단 합의된 방식만으로 어느 한쪽의 유·불리를 따지기 어렵다는 평가다. 국민참여경선 방식은 민주당이 양보한 안이다. 당초 김 최고위원 측은 현장 투표방식을 요구했지만 당 조직이 약한 유 전 장관 측이 “불법 동원 가능성이 크다”며 강력히 반대해 왔다. 김 최고위원 측에서는 최대 강점을 포기한 셈이지만 경선인단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조직이 탄탄해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연령 구분을 19∼49세, 50세 이상으로 2구간으로 단순화했다. 이 역시 중년층 지지자가 많은 김 최고위원에게 불리하지 않은 조건이다.

여론조사는 유 전 장관 측이 물러섰다. 유 전 장관 입장에서는 한나라당 후보와의 가상대결 경쟁력을 묻는 여론조사로는 김 최고위원과 큰 차이를 내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유 전 장관 측은 민주당의 조직 표를 상쇄할 수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야 승리할 수 있다.

김 최고위원은 “어떤 경우에든 둘이 같이 후보 등록하는 일은 없게 하는 게 국민들의 염원이라 생각해 양쪽이 하나씩 양보했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민주당에는 일말의 불안감이, 참여당에는 일말의 희망이 있는 방식이다. 활발한 시민참여가 기적처럼 일어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에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 전 대표는 전날 밤 “60% 불리한 안이라 하더라도 대의를 위해 받는 것이 좋다”고 유 전 장관을 직접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의 단일화를 계기로 경기도의 범야권 연대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