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 상황맞게 출구전략 시행”

입력 2010-05-03 00:33

주요 20개국(G20)에 이어 아시아 국가들도 각국 상황에 맞게 출구전략을 시행키로 했다. 또 ‘아시아 공동 채권시장’의 핵심 인프라가 될 역내 신용보증투자기구(CGIF)가 설립된다. 아시아 국가들은 역내 경제감시기구인 AMRO 설립방안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한·중·일과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재무장관들은 2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아세안+3’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이날 재무장관들은 아시아 경제가 가장 먼저 회복세를 보이며 세계 경제를 견인했으나 여전히 글로벌 경제의 재정건전성, 자본 유출입 불안정성 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이에 따라 각국은 거시경제 안정성 유지, 재정의 지속가능성 및 금융안정성 유지를 위해 각국 상황에 맞는 적절한 출구전략을 채택해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이번 합의는 최근 미 워싱턴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 회의 결과를 재확인한 것으로, 아시아 국가들의 기준금리 인상 행보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세안+3 회원국들은 또한 CGIF 설립에 합의,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 대비한 아시아 공동 채권시장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이와 관련,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중국 셰 쉬런 재정부장, 일본 칸 나오토 재무장관은 CGIF 설립에 필요한 7억달러 가운데 한국이 1억달러, 중국과 일본이 각각 2억달러, 아세안이 7000만달러, 아시아개발은행(ADB)이 1억3000만달러를 각각 출자키로 했다.

또 한국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다자화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AMRO의 소요경비 중 16%를 부담하게 된다. 싱가포르에 설립될 AMRO는 아세안+3 회원국의 거시경제 동향을 모니터링·분석해 역내 자금 지원을 위한 의사 결정을 돕는 기구이다.

한편 셰 쉬런 중국 재정부장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무역수지 흑자를 이유로 위안화 평가절상을 요구해서는 안된다”며 “환율을 결정하는 현재 매커니즘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타슈켄트=배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