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참총장 ‘보복’ 의지 동의 어떤 형태로든 응징할 것” 김국방 ‘천안함’ 재다짐

입력 2010-05-02 18:42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2일 천안함 사고와 관련, “응징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이 보복 의지를 천명한 것과 관련, “동의한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보복이 보복을 부르는 악순환 우려에 대해선 “분명히 그런 것은 고려해야 한다”면서도 “최대한 마지막까지 확실히 규명해서 우리 장병을 순국하게 한 세력에 대해서는 뭔가를 안겨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또 사고 해역에서 수거한 4개의 알루미늄 조각이 ‘스모킹 건(smoking gun·결정적인 증거)’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건 3㎜ 정도 크기의 편 조각”이라며 “그 조각이 함정 자체에서 나온 알루미늄인지 등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우리 군의 대잠수함 능력에 대해 “서해는 (동해와 달리) 수심이 60m 미만으로 얕고 조류가 빠르고 혼탁해 잠수함 위협이 적다고 판단했는데, 이번 기회에 서해에서도 얼마든지 잠수함 작전을 할 수 있다고 보고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천안함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민·군 합동조사단 과학수사팀은 천안함에 설치된 CCTV 영상을 복원하는 데 기술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소식통은 “CCTV는 함정 통로와 탄약고 등 천안함의 주요 시설 5∼6곳에 설치돼 있다”면서 “영상이 복원된다면 폭발 당시 함정의 모습을 비롯한 사고 전후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군은 지난해 천안함에 CCTV를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부 방수 기능이 있어 바닷물에 침수되더라도 영상 복원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