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상최악 축산硏도 뚫렸다… 충남 청양까지 번져 정부기관도 방역 허점 드러나
입력 2010-05-02 18:30
인천 강화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내륙 지역인 충남으로 확산되고, 일반 농가는 물론 공공기관인 축산연구소까지 침투하면서 사상 최악의 상황으로 번지지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합동지원단을 꾸려 진화에 나섰으나 구제역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특히 다음달 2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면 인구이동이 많아져 바이러스는 급속히 전국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구제역, 충남 청양까지 확산…축산연구소까지 뚫려=2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30일 구제역 의심 신고가 들어온 충남 청양군 정산면 학암리 축산기술연구소의 의심 증상 모돈(어미돼지) 1마리에서 시료를 채취해 정밀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판명됐다. 이로써 이번 구제역 발생지는 10곳으로 늘었다.
정부 수립 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구제역이 발병하기는 처음이다. 축산기술연구소는 종우(씨소), 종돈(씨돼지)을 기르는 것은 물론 송아지나 새끼돼지를 낳아 분양하고 소·돼지의 품종 개량, 기술 보급 등을 담당하는 곳이다. 일반 축산 농가에 비해 훨씬 엄격한 방역과 소독 조치가 이뤄져야 할 축산연구소에서마저 구제역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방역 체계에 큰 허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연구소는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충주시 신니면 용원리의 돼지 농장에서 남서쪽으로 96㎞ 떨어져 방역 당국의 방역 범위를 완전히 벗어난 곳이다. 이창범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강화의 구제역 발생 농가가 가축을 내다판 도축장에 이 연구소도 돼지를 내다판 일이 있다”고 말했다.
◇사상 최악의 구제역, 지방선거가 변수=이번 구제역은 발생 지역이 지금까지의 구제역 중 가장 광범위하고 경제적 피해도 최고치에 이를 전망이다. 우선 발생 범위가 인천 강화-경기 김포-충북 충주에 이어 충남 청양으로까지 확산되면서 4개 시·도로 늘어났다. 다행히 1일 충북 단양과 충남 예산, 경기 연천에서 신고된 구제역 의심 건은 정밀검사 결과 음성으로 판명됐다.
충남 청양의 우제류(발굽이 두개인 가축) 5495마리가 살처분 대상에 오르면서 살처분 규모는 모두 4만8735마리로 늘어났다. 살처분 보상금은 충주 농가까지 집계된 액수만 530억원이어서 청양 농가 보상금까지 합칠 경우 2002년 살처분 보상금 531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문제는 앞으로 구제역이 확산될 요인이 더 많다는 점이다. 날씨가 따뜻해져 바이러스의 활동력이 커지고 선거기간 후보들의 농촌지역 방문이 잦아지면서 사람과 차량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도 높다. 구제역 발생지역 지방자치단체장과 공무원들이 선거운동 때문에 방역을 소홀히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방선거 때까지 향후 한 달간이 구제역 전국 확산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