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소아용 장비·인력 태부족

입력 2010-05-02 18:09

정부가 지정한 응급의료센터 중 상당수가 소아 응급환자를 돌보는 데 필요한 시설과 장비, 인력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곽영호 교수는 전국 73개 응급의료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령에 맞는 크기의 ‘기관 내 튜브’가 없는 곳이 38.3%였고, ‘골강(骨腔) 내 주사 바늘’이 없는 곳은 56.2%나 됐다고 2일 밝혔다. 인위적으로 숨을 쉬게 하는 데 필요한 기관 내 튜브나 골강 내 주사 바늘은 소아 응급환자에게 필수적인 장비로, 이들 장비가 없으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다. 또 소아환자 전용 처치 구역을 갖춘 응급실은 2.7%에 불과했으며, 소아 전용 소생실을 둔 응급실도 8.3%에 그쳤다. 더욱이 조사 대상 응급센터의 52.1%에는 소아 응급실 전담 인력이 아예 없었다.

곽 교수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3일 서울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열리는 ‘저출산 시대, 소아청소년 의료정책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발표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