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도 한국경제 호평… “신용등급 오를수 있다”

입력 2010-05-01 00:28

‘위기 증폭의 나팔수’로 불리던 국제신용평가사의 한국경제를 보는 눈이 달라졌다.

지난달 14일 신용등급을 한 단계 올린 무디스에 이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한국의 금융위기 극복과정을 호평하고 나섰다. 13년 전 외환위기 당시 경쟁적인 등급 하향으로 방어력에 치명타를 입혔던 것과 대조적이다. 다만 북한 등 고질적인 ‘코리안 리스크’ 외에 가계 빚을 향후 위험변수로 꼽았다.

폴 코크린 S&P 부사장은 3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서유럽의 국가신용등급 하락세와 달리 한국은 침체 상황에서 긍정적인 회복세를 보였다”며 “(한국을 포함한)아시아 신흥국의 등급은 안정적이거나 조금(slightly)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코크린 부사장은 전 세계 S&P 정부·기업·금융회사 평가조직을 총괄하는 임원이다. 지난해 6월 데븐 샤마 회장의 방한 이후 S&P측 거물급 임원이 한국을 찾은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코크린 부사장은 “이번 방한은 일상적인 업무일 뿐 신용등급 조정을 위한 협의 차원은 아니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코크린 부사장 일행은 이날 기자간담회 직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을 만나고 돌아갔다.

재정부 관계자는 “S&P측에선 인사차 방문임을 강조했지만 금융권과 정부를 돌아보며 한국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갖고 돌아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무디스와 달리 S&P가 실제 등급 상향을 단행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코크린 부사장도 “(무디스의 등급 상향에 대해선) 코멘트할 수 없다”고 전제한 뒤 “S&P는 조금 더 보수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S&P가 매기고 있는 한국신용등급은 ‘A’다. 채무상환능력은 충분하나 경제상황 악화에 다소 취약하다는 뜻으로 가장 좋은 ‘AAA’보다 5단계 낮은 등급이다. S&P측은 한국 관련 리스크로 북한변수와 가계 빚 문제를 꼽았다. S&P 관계자는 “(한국 당국이) 가계부채 문제를 감안해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본다”고 언급해 가계빚 문제를 주시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